• 최종편집 2023-05-29(월)

G.OPINION
Home >  G.OPINION  >  G.OPINION

실시간뉴스
  • 오정호 부총회장 대회제 시도
    약점을 스스로 공개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일반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인간적인 약점들에 국한됐다. 예컨대 연설 도중 공황 발작을 일으키는 등의 심각한 결함을 공개하는 경우에는 진정성 있게 보이지 않았으며 무례하게 대우하거나 비윤리적으로 행동하는 등의 범법 행위를 공개하는 것도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리더가 약점을 자발적으로 공개해야 한다는 점이다. 관찰자가 어떤 인물에 대해 추론할 때는 그 인물의 의도를 고려한다. 따라서 리더가 억지로 또는 ‘들켜서’ 약점을 공유한다면 의도가 퇴색된 것이나 다름없다. 관리자가 약점을 자발적으로 공개할 때 예비 직원들은 관리자와 계속 일하고 싶은 마음이 컸고 신뢰 게임에서 관리자에게 더 많은 액수의 돈을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진정성은 협력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리더들은 ‘이미지가 전부’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진정성이 왕도’라는 마음가짐으로 다가가는 게 때론 더 유익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완벽하고 강한 이미지만 유지하려다 보면 사람들은 진정한 모습의 ‘일부분’만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반면 인간적으로 공감이 되는 결점을 공개하며 스스로의 취약성을 개방하면 오히려 사람들은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리더로 대할 것이다. 다른 자유도 있다. 일본 와카야마현의 76세 남성 노자키 고스케의 경우를 보자. 지난 3월 6일 방송에 따르면 어린 시절부터 노자키의 꿈은 큰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꿈을 이루었다. 수중에 7억 엔의 현금을 가지고 있을 정도의 큰 부자가 된 것이다. 왜 그는 그토록 돈을 많이 벌었나? 노자키는 자서전에서 이렇게 말했다. “마음에 드는 여자와 동침하기 위해 부자가 됐다. 지금까지 4천 명의 여성에게 3백억 원을 썼다. 앞으로도 그렇게 살겠다.” 그러던 그는 55세 연하인 21세 여성과 결혼했는데, 그 젊은 부인은 돈을 노리고 늙은 노자키를 살해했다. 성욕의 자유(?)를 추구했던 어떤 남자의 불꽃 같은 생애는 이렇게 끝났다. 또 다른 자유도 있다. 정치적 신념을 옳고 그름의 절대적 가치 판단의 잣대로 삼는 사람들이 놀라울 정도로 많은 점은 걱정스럽다. 그 맹신이 섬뜩할 정도다. 왜곡된 이념을 받아들인 탓이다. 보수(保守)는 지키는 것이다. 진보(進步)는 나아가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보수는 우파, 진보는 좌파다. 좌파 정권은 국민의 삶에 적극 개입하는 큰 정부를 지향한다. 우파 정권은 시장 자율을 우선하고 간섭은 최소화한 작은 정부를 선호한다. 보수와 진보 이념은 이처럼 사회 변화나 발전을 추구하는 방식 그리고 속도의 차이일 뿐이다.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으로 접근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도 진보가 보수보다 더 정의롭다거나 정의를 진보의 전유물인 것처럼 주장하는 얼치기 이념 과잉 세력이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물론 얼토당토않은 황당 궤변이다. 문재인과 이재명의 경우에서 보듯 옳고 그름과 정의와 불의는 이념과 하등 상관이 없다. 어떤 이념 지대에 속해 있든 간에 그 안에 정의로운 사람도 있고 불의한 사람도 있는 게 자연의 섭리다. 그런데도 이해관계로 갈리는 총회 정치판과 달리 일반 정치판은 돈 봉투는 물론이고 한술 더 떠 이념으로 편까지 가르는 후진적 행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치 성향으로 내 편 네 편 피아를 구분하고 적은 악마 화한다. 얼치기 진보에게 보수는 수구꼴통 토착왜구, 얼치기 보수에게 진보는 빨갱이일 뿐이다. 척결 대상이지 대화 상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듯 기독신문의 박민균 기자가 대회제 찬반에 대한 5월 9일 자 공정한 기사 '대회제 시행, 위험한가? 기우인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회제 시행연구위원회(위원장 석찬영 목사)가 목사장로기도회 개회를 앞두고 2023년 5월 8일 충현교회 갈릴리홀에서 공청회를 열었다. 발제는 오랫동안 총회의 제도와 행정을 연구하며 개선방안을 제시해 온 신현철 목사(마포중앙교회)와 수년 동안 대회제를 연구해 온 이종석 목사(광교제일교회)가 나섰다. 신 목사는 대회제 시행 반대 입장에서, 이 목사는 찬성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했다. 신현철 목사는 ‘대회제 시행 요구의 배경과 그 위험성’이란 주제로 대회제를 시행하기에 앞서 선결해야 할 문제와 위험성을 지적했다. 선결해야 할 문제는 크게 4가지다. 먼저 헌법 조문에 총회와 대회의 기능이 거의 동일하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현재 헌법대로 대회제를 시행하면 사실상 각 지역의 대회가 총회와 동등한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되고 결국 총회가 여러 개 구성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신학교, 총회 재산권, 무지역 노회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위험성으로 △총회가 더욱 정치화하고 대회를 중심으로 지역 패권주의 형성 △지역(대회)의 직영 신학교 확대와 총신신대원의 약화, 총회 신학의 통일성, 정체성 약화 △총회의 권위 축소와 은급재단, 유지재단 등 재산권 다툼 △대회 내의 갈등과 분쟁으로 인한 분열(한 지역 다 대회 위험) 등을 지적했다. 이런 우려에 이종석 목사는 “지나친 염려이며 기우”라며 “염려보다는 대회제를 통해 총회가 더 발전하기를 기도하면서 시행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목사는 △거대해진 총회를 분산시켜 효율적으로 운영 △지역 분권으로 새로운 선교 패러다임을 창출 △다양한 인재를 개발하고 정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한 신 목사가 제기한 여러 위험성도 사전 예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대회 조직을 현재 3개 노회에서 25~30개 노회로 구성토록 하고 목사의 자격을 지금처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자’로 규정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은급재단과 유지재단은 대회에서 운영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제왕적 총회장’이란 말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총회장과 총회임원회의 역할을 조금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회제연구위는 2023년 2월 21일 실제로 미래지향적인 장봉생 목사가 위원장인 미래정책전략개발위원회와 연석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교단 분열’과 ‘서북지역’이었다. 교단분열은 대회제를 시행했을 때 가장 우려하는 것이다. 총대들도 설문조사에서 대회제를 반대하는 첫 번째 이유로 ‘총회가 더욱 정치화 되어 교단분열의 위험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대회제연구위의 한 위원도 “대회제를 시행할 경우 호남 지역은 정치적 갈등과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서북지역은 대회제를 시행할 때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미래정책위의 한 위원은 “대회제는 지방자치제다. 현재 무지역인 서북 지역 노회들은 전국에 교회가 있다. 서북대회를 구성하면 사실상 전국 대회인 셈”이라며 “서북노회를 모두 지역화할 수 있는가? 예수님 오실 때까지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총회와 총회장의 위상이 약화 돼 한국교회 연합사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미래정책위 장봉생 위원장은 “현재 총회의 중앙집권적 구조는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회제를 시행해서 나타날 문제들을 예상할 수 있다. 이 문제들을 미리 파악해서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참으로 놀라운 탁견이고 지혜로운 지도자다운 지적이다. 덧붙이건대 문명의 발달로 즉 철도와 전화기의 발명으로 시간(현재 시각)의 차이, 지역마다 나라마다 각자의 시간관념으로 살던 인류가 공통된 24시간이라는 단위를 만들게 됐다. 말을 타고 여행하던 미국인이 기차로 LA에 아침에 도착해 뉴욕 가족에게 전화했더니 밤이라 자고 있던 사람을 깨우게 됐다. 이후 의아해 조사해보니 지구촌을 비교적 단시간에 왕래하고 통신하면서 이 24시간 또한 국가 간의 밤, 낮 차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때에 있는 것을 보고 세계 시간의 표준을 만듦과 동시에 국가마다 이 현재 시간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환산하게 됐다. 그 정도의 면적을 가진 나라는 대회제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전국 세 시간 거리의 대한민국에서 경상도 말로 "무신 대회제고"라는 말이 나오지 않겠는가. 이념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편을 가르는 이념확신범들이 집단 광기에 빠지면 그것보다 더 위험한 건 없다. 노조가 불법 파업을 해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불법파업조장법은 진보·보수 이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자유민주주의 근간인 법치를 훼손하는 악법일 뿐이다. 그런데도 정치 성향이 진보좌파니까 불법파업조장법을 무조건 지지해야 한다고 선동하는 것만큼 비상식적인 건 없다. 또 진보는 원래 핵을 반대하니, 탈원전을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반과학적이고 상식에 벗어난다. 이 같은 교조적 도그마에 빠져 과학과 상식을 배척하는 순간 원리주의 광신도가 되는 것이다. 대회제 역시 상식을 벗어나면 안 될 것이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겠는가. 이재명은 치밀한 두뇌로 거미줄처럼 감겨 오는 사법 리스크를 헤쳐 왔다. 반면 자신의 정치 생명을 판돈 삼아 큰 승부를 모색하는 담대한 심장을 보여준 적은 없다. 그래서 이번에도 정면 승부를 피해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을 치르고 나서 이재명 자신이 ‘가지 않은 길’을 되돌아보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며 한숨짓는 프로스트의 시 구절을 떠올리게 될지 모른다. 총신대를 장악한 것 같은 의혹을 품게 하는 오정호가 대회제를 통해 총회를 장악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위험성 역시 내년, 자신이 ‘가지 않은 길’을 되돌아보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며 한숨짓는 프로스트의 시 구절을 떠올리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총회도 총신도 다 잃은 김영우처럼... 성경은 말씀한다. 그들이 가증한 일을 행할 때에 부끄러워하였느냐 아니라 조금도 부끄러워 아니할뿐 아니라 얼굴도 붉어지지 않았느니라 그러므로 그들이 엎드러지는 자와 함께 엎드러질 것이라 내가 그들을 벌하리니 그때에 그들이 거꾸러지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는 길에 서서 보며 옛적 길 곧 선한 길이 어디인지 알아보고 그리로 행하라 너희 심령이 평강을 얻으리라 하나 그들의 대답이 우리는 그리로 행치 않겠노라 하였으며 렘 6:15-16 2023-05-10
    • G.OPINION
    • G.OPINION
    2023-05-10
  • 권순웅 총회장의 언어
    제대로 된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말뿐인 미사여구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국가건 총회건 개인이건 사기와 기만으로 만들어진 성은 결국 무너진다. 마지막에 살아남는 건 진짜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치와 목회에서 언어(language)는 은혜와 기적의 원료다. 무엇보다 총회 리더의 언어는 가능한 한 짧고 단순 명쾌해야 된다. 특히 총회장과 총무의 언어는 총회 품격(品格)의 핵이다. 품격이란 품성과 인격을 줄인 단어로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또 사물 따위에서 느껴지는 품위를 뜻한다. 그런 점에서 제107회 권순웅 총회장의 각 모임의 설교와 강연은 정곡을 찌르는 소프트파워(Soft Power)의 백미(白眉)이고 열매가 있는 샬롬 부흥의 알곡이다. 세계적인 명설교와 명연설의 공통점은 결코 어렵지 않으며 삶의 익숙한 보편적 진리를 통해 벅찬 감동을 이끌어 낸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명한 설교나 연설은 중학생 정도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많은 리더들이 마이크 앞에만 서면 자신을 고급스럽게 포장하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그러나 지도자의 말은 언필유중(言必有中), 말하기만 하면 반드시 이치(理致)에 들어맞아야 한다. 리더의 언어는 곧 그 조직의 품격이자 위상이기 때문이다. 깨진 종은 소리를 내지 못하는 법이다. 정치에 관한 온갖 이론이 있지만 정치의 기본 토대는 결국 ‘상식’과 ‘신뢰’다. ‘상식’과 ‘신뢰’가 흔들리면 전문 지식을 동원해 그 위에 그럴듯한 이론을 세워도 궤변(詭辯)이 되고 만다. 이재명은 경기지사 선거 토론 때도 친형의 정신병원 강제 입원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허위 발언을 해 항소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았지만 대법원이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 하면서 대선에 출마할 수 있었다. TV토론에선 거짓말을 해도 된다는 황당한 판결이었지만 대법원도 거짓말이란 점은 인정했다. 그런데도 거짓말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각종 의혹을 둘러싼 이재명의 해명은 총무 연임에 나선 고영기의 새에덴교회에서의 출정사처럼 갈수록 상식에서 벗어나고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나의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 도시의 밤 골목을 헤매다니며 두리번거렸다. 가로등도 드문 좁은 길에서 나는 누군가의 쉼터이자 희망일 수도 또 전쟁터이자 고통일 수도 있는 교회들을 보곤 했다. 가난은 감출 수 없는 것이라지만 어둠 속의 작은 교회들은 나의 눈과 마음에서 초라함을 이겨내고 아름다움을 입었다. 어디로부터 온 것인지 알 수 없는 불빛이 흰 벽에 잔잔한 풍경화를 새겼고 석양처럼 붉은빛을 드리웠다. 벽은 희고 지붕은 푸른 집은 언뜻 지중해의 작은 섬에라도 온 듯한 착각을 불러온다. 어둠은 많은 것을 가렸고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바라보듯이 그 교회들을 보았다. 비탈진 언덕 위 자리 잡은 옛날 교회들은 비좁은 땅에 알차게 들어앉아 있었다. 내부 구조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창들은 작게 나뉘어 있었다. 그 창틀 안에선 금요 철야 기도로 누군가 하루의 믿음을 달래고 있었을 테고 토요일 새벽이 오면 출입문이랄 것도 없는 교회 여닫이문을 드르륵 열고 믿음으로 빛을 안고 나왔을 것이다. 무엇인들 늘 빛나기만 할까. 눈이 부시게 빛나는 순간은 자주 오지 않는다. 그래서 더 귀하다. 교회의 역사는 언제나 전진의 역사다. 예수님은 승천하시기 전에 제자들을 향하여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말씀하셨다. 계속 전진할 것을 이르셨다. 예루살렘에서 유대로 사마리아로 전진했다. 다시 유럽으로 아시아로 전 세게 교회로 전진했다. 그래서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칼빈(John Calvin 1509년~1564)은 죽기 5년 전 1559년 8월 1일 자신의 라틴어판 저서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를 위해 쓴 ‘저자의 마지막 개정판에 덧붙인 서문’에서 말했다. I may further observe, that my object in this work has been, so to prepare and train candidates for the sacred office, for the study of the sacred volume, that they may both have an easy introduction to it, and be able to prosecute it with unfaltering step; 이 저술에 있어서 나의 목적은 신성한 책(the sacred volume 성경) 공부를 위하여 성직후보자(聖職候補者 목사후보생 candidates for the sacred office)들을 준비시키고 훈련 시키기 위해(so to prepare and train) 진술하는(observe) 것일 수 있습니다. 목사후보생들이 성경의 쉬운 개론(槪論)에 접할 수 있고 흔들림 없이(with unfaltering step) 그것을 실행할(prosecute) 수 있도록 말입니다. 칼빈은 신자들에게 하나님 말씀의 순종을 가르치고, “우리는 풍부하든 풍부하지 않든 사람들을 돌보아야 한다”며 신자들이 서로 협력하며 살도록 가르쳤다. 그것이 칼빈의 신앙이었다. 그렇듯 제107회 총회장 권순웅 목사의 '샬롬 부흥'을 향한 설교와 강연은 총회 산하 교역자와 신자와 피 전도자들이 어떠한 형편에서든 서로 협력하며 살도록 가르치는 칼빈 사상의 재현이다. 총회 107년 역사상 전무후무한... 성경은 말씀한다. 하나님 앞과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실 그리스도 예수 앞에서 그의 나타나실 것과 그의 나라를 두고 엄히 명하노니 너는 말씀을 전파하라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힘쓰라 범사에 오래 참음과 가르침으로 경책하며 경계하며 권하라 딤후 4:1-2 2023-05-06
    • G.OPINION
    • G.OPINION
    2023-05-06
  • 고영기 달란트
    난 지금껏 말씀을 전하는 설교에 높낮이가 있다는 생각으로 일을 해왔다. 그걸 겉으로 내세우지 않았어도 어쩔 수 없이 설교의 우와 열을 판단하며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거나 글을 쓰곤 했다. 나이를 먹을수록 모든 설교를 아우르고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이 좋아 보일지는 모른다. 그러나 나이만큼 더 많은 설교를 들을수록 어떤 설교가 더 좋고 훌륭한지를 생각하게 된다. 자기 시무 교회 광고시간에도 주군의 소식을 알리고 강남의 총무 관사 매각 의혹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비상근 총무라 고영기는 총회 총무실에 제대로 출근을 하지 않았다. 그런 고영기가 허리도 온전치 않은 데 비상근에서 상근으로 환원된 총무 관사도 팔아치운 총회 총무 재임 도전 이유를 새에덴교회(소강석 시무)에서 당당히 밝혔다. “한국교회 연합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 그 사명감을 일깨웠기 때문이다.” 졸지에 바뀐 총무제도로 비상근 총무라 총회를 제대로 출근하지 않고 3년을 보낸 고영기는 2023년 4월 23일 새에덴교회(소강석 시무)에서 드린 ‘한국교회 연합사역과 회복을 위한 예배 및 기도회’ 설교자로 나섰다. 고영기는 ‘한국교회 연합의 꿈, 반드시 이루리라’는 제목으로 강단에 올라 자칭 광대 소강석 총회장 재임 시절에 펼쳤던 통합 불발을 아쉬워하며 한국교회 연합기관 통합 사역을 반추했다고 한다. 그는 소강석 설교에 감동을 받았다는 이재명처럼 천연덕스럽게 뇌까리고 기독신문은 아무런 논평 없이 말 그대로 전했다. “한국교회 연합기관의 하나 됨이 거의 이루어진 상황이었다. 하지만 기득권과 권력 유지, 교권 다툼과 자리싸움에 함몰돼 통합이 지연됐다. 결국 한국 교회 하나 됨을 향한 간절한 의지와 마음이 없었던 것이다.” 그는 은퇴를 3년 앞두고 있어서 재임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무 제도에도 어긋나고 총회 선거법도 범할 소지가 있고 총회 정서도 거스르는 그의 아부성 본심을 모처럼 무심하게 드러냈다. 더불어 그의 마음 좋은 주군의 면모와 명예도 깎아내리고 말았다. 기독신문 기자는 두고두고 총회선거법 위반 증거와 가십(신문·잡지 등에서 유명한 사람의 사생활에 대해 험담을 늘어놓은 기사)으로 회자(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게 되는 것을 일컫는 표현) 될 말을 가감 없이 전했다. “소 목사님이 1시간 넘게 한국교회 연합사역의 사명을 이야기하셨다. 저에게 새로운 사명과 방향을 제시하셨다”라며 소강석 목사를 통해 결정적으로 총회 총무 재선에 나섰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하나님께서 한국교회 연합의 꿈을 반드시 이루실 것으로 믿는다. 한국교회 지도자들의 마음을 감동시키시고 연합을 향한 뜨거운 의지를 불타오르게 하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성도들과 함께 ‘한국교회 연합과 목회 생태계 회복’을 위해 특별기도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총회 총무 재선에 도전하는 고영기 목사와 그를 지원하는 소강석 목사가 함께 출정식을 가진 것과 다름없었다. 소강석 목사는 “고 목사님은 교회연합 사역에서 잊을 수 없는 동역자”라고 말했다. “인물난을 겪고 있는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인재”라고 치켜세웠다. 소 목사는 “고 총무님과 3년 동안 사역했다. 교회연합기관 통합을 거의 했는데 반대하는 몇 사람 때문에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생각하면 정말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탄식했다. 소 목사는 “연합사역은 반드시 이루어야 한다. 연합하지 않으면 한국교회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라며 “하나님께서 연합을 이루실 것으로 확신한다. 반드시 한국교회가 연합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의지를 다졌다. 결국 소강석 목사는 예장합동 총회가 한국교회연합의 중심 역할을 맡아야 하고 이 사역을 위해 고영기 목사가 총회 총무로 사역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회 선거법에 따라 5월부터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고영기 목사를 4월 마지막 주일에 설교자로 세워 응원했다. 그 둘을 잘 아는 분에게 왜 저렇게 별 능력이 없는 자를 능력이 많으신 분이 어째서 좋아하시느냐고 물었다. 그는 말 대신 오른손과 왼손을 위아래로 겹쳐 부비는 시늉을 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운영하는 조선왕조실록 사이트에서 원문 검색을 하면 ‘勤勞(근로)’는 615회, ‘勞動(노동)’은 354회 등장한다. 수백 년 전 사람들은 노동보다 근로를 더 익숙하게 사용한 셈이다. 가령 임진왜란 후 이순신을 공신으로 봉할 때는 “왜적을 쓸어내며 7년간 열심히 근로하였다”라고 적었다. 임금이라고 다르지는 않았다. 경복궁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인 근정전(勤政殿)의 뜻을 새겨 보자. 부지런히 다스리는 대궐이라는 말이다.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아들들에게 보낸 편지에 “밭뙈기 하나 물려주지 못하지만 ‘근(勤)’과 ‘검(儉)’ 두 글자를 유산으로 남긴다”라고 썼다. 기름진 논밭 대신 평생 써도 닳지 않을 정신을 상속한 것이다. 부지런할 근(勤)은 이렇듯 조상들이 권장한 미덕이었다. 현대에는 부지런하다는 의미가 약화되거나 소실되면서 근로는 사실상 노동과 거의 같은 뜻을 지니게 됐다. 그림에도 참혹한 임진왜란 후 나라를 구한 성웅 이순신 장군을 공신으로 봉할 때는 “왜적을 쓸어내며 7년간 열심히 근로하였다”라고 적었다. 이제 후안무치 총무 연임에 도전하는 고영기가 총회가 명하지도 않은 교회연합 사업 운운하며 3년간 총회를 위해 열심히 근로하였다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 그러나 아무리 변함없는 좋은 심성을 지닌 그의 광대 주군일지라도 3년 뒤 “인물난을 겪고 있는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인재”라고 다음에도 치켜세울 수 있을까. 성경은 말씀한다. 한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가로되 주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받으셨나이다 그 주인이 대답하여 가로되 악하고 게으른 종아 나는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로 네가 알았느냐 그러면 네가 마땅히 내 돈을 취리하는 자들에게나 두었다가 나로 돌아와서 내 본전과 변리를 받게 할 것이니라 하고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어라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갊이 있으리라 하니라 마 25:24-30 2023-05-03
    • G.OPINION
    • G.OPINION
    2023-05-03
  • 제108회 부총회장 후보 공감 능력
    꽃한테 다가서면 믿음에 찔려, 삐거나 부은 마음 금세 환해지고 선해지니 봄엔 아무 꽃이라도 한번 찔리고 볼 일이다. 생생한 꽃들일수록 슬쩍 한 귀퉁이를 손톱으로 상처 내본다, 피 흘리는지 본다. 가짜를 사랑하긴 싫다. 인생을 좋은 길로 만드는 것은 중간쯤 나 있는 근사한 비상구가 아니라 그 길을 가는 사람의 결의다. 따라서 불안하지 않는 삶을 원한다면 최대한 '직선'의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선의 삶을 가기 위한 가장 완벽한 준비물은 ‘끈기’와 ‘결의’다. 자신의 인생길을 망치는 것은 불확실성이 던져준 혼란이나 선택의 오류 때문이 아니라 결국 자신의 변덕 때문이다. 그 빛나는 깨달음이 참다운 지혜이다. 모든 생물은 가멸찬 삶, 즉 부를 향한 갈망을 품고 있다. 부(富)는 술 단지처럼 배가 불룩한 그릇을 뜻하는 복과 사당을 뜻하는 면이 합쳐진 말이다. 본래 신께 바치는 공물이 넉넉하다는 의미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의 정치경제학자이자 윤리철학자이다. 후대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국부론’(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의 저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년 6월 5일 ~ 1790년 1월 12일)는 공감의 철학자였다. 스미스의 부친은 연합조약의 영향으로 스코틀랜드 해안에 밀수가 급증한 것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것을 지켜본 애덤 스미스는 인간의 거짓됨의 참람함을 깨닫고 정부의 법과 규칙을 강화하는 방법 즉 관세보호 등을 찾게 되었다. 이것이 나중에 "국부론"을 쓰는 계기가 된 것이다. 공감이란 무엇인가. 다른 이의 처지에서 그의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18세기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큰 산이었던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년 4월 26일 - 1776년 8월 25일)은 현악기가 공명하는 것과 같은 공감을 말했다. 그러나 스미스의 공감은 단순한 반향이 아니었다. 공감은 슬퍼하거나 아파하는 이의 자리로 가서 그가 왜 그런 감정을 느끼는지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다. 인간은 상상하고 공감할 수 있기에 올바른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나를 지켜보는 가장 공정한 관찰자를 상상하고 그의 자리로 가서 그의 눈으로 자신의 행동을 보라. 그는 나의 위대한 재판관이 된다. 스미스는 자기애라는 가장 강력한 충동에 맞설 수 있는 대항력은 인간애의 부드러운 힘도, 자연이 인간의 가슴속에 피워놓은 자비심의 연약한 불꽃도 아니다. 그것은 바로 자신에게 믿음의 채찍을 내려치는 공정한 성령의 감동이다. 스미스는 조선의 정조가 임금에 오른 1776년 '국부론'을 냈다. 17년 먼저 펴낸 '도덕 감정론'은 30년 넘게 다듬었다. 그는 언어와 모방예술도 탐구했다. 하지만 훗날 챗GPT나 미드저니가 나오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을 것이다. 그는 기껏 제임스 와트가 만든 원시적인 복사기를 보고 놀라워했다. 여기서 간단한 사고실험을 해보자. 타임슬립을 한 그가 오늘날의 챗봇을 봤다면 뭐라고 할까. 노동자가 단순 작업만 되풀이하다 창의력을 잃고 무지해지는 것을 걱정했던 그는 일자리 문제부터 고민할 것이다. 가르치는 척조차 않는 옥스퍼드대의 교수들을 비난했던 스미스는 변화에 둔감한 오늘날 총신대학 교육도 질타할 것이다. 인간 본성에 관한 더 근본적인 물음도 던질 것이다. 이 신기한 로봇 챗GPT는 과연 사람처럼 상상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지닐 수 있을까. 공정한 잣대로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는 있을까. 사실 완벽하게 합리적이라는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경제인)는 오로지 경제적 합리성에만 기초를 두어 개인주의적으로 행동하는 인간이 아니다. 때로는 놀랄 만큼 어리석고 잔인하며 파괴적이다. 그럼에도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가 본 인간은 다른 사람의 운명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행복을 바라보는 즐거움밖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할지라도' 그 행복이 자기에게 필요하다고 여기는 사람이다. 제104회 총회장 이승희 목사는 제108회 부총회장 후보 남태섭 목사와 김종혁 목사에 대해 말했다. "서로 상대가 있으니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알겠죠." 제107회 감사부장 김경환 장로는 말했다. "남태섭 목사는 같은 노회 분이고 김종혁 목사는 대학교 동창입니다." 우리는 자기 삶의 저자인 동시에 독자이다. 인생을 멋진 소설로 남기고 싶다면 변덕에 휘둘리지 말고 믿음을 따라 똑바로 자신의 길을 가야 한다. 성경은 말씀한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선진들이 이로써 증거를 얻었느니라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 히 11:1-3 2023-04-18
    • G.OPINION
    • G.OPINION
    2023-04-18
  • 총신 총장 후보 세이렌과 사이렌
    푸른 불 신호가 꿈처럼 어리는 거기 작은 예배당 같은 정거장이 있다. 빈 대합실에는 기도하거나 의지할 의자 하나 없다. 이따금 고속열차만 쾌속으로 순간 지나간다. 눈이 오고 비가 오거나 아득한 선로 위에 없는 듯 있는 듯 거기 조그마한 정거장처럼 내가 있다. 작가는 때로 자신의 고통을 언어로 파고 새긴다. 가장 가혹한 형벌은 전혀 무익하고 무의미한 일을 지속하는 것이라고 말한 도스토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1821년 11월 11일 ~ 1881년 2월 9일)도 그러했다. 그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쓰고 있던 1878년 5월 16일, 막내아들 알료샤가 죽었다. 그에게서 물려받은 간질 때문이었다. 아버지 때문에 아들이 죽은 것이다. 그가 느끼는 고통과 죄의식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것이 그의 소설까지 파고들었다. 아이를 잃고 비통해하는 어머니가 그의 소설에 등장하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죽은 아이가 그의 아들처럼 석 달이 모자라는 세 살이었고 이름이 알료샤라는 것도 우연이 아니었다. 소설에서 아이를 잃은 어머니는 울기만 한다. 삶은 망가지고 가정도 망가졌고 집을 나온 지 3개월이나 되었다. 조시마 장로를 찾아간 이유다. 그렇게라도 해야 살 것 같았다. 그런데 장로는 의외의 말을 한다. “당신한테 필요한 것은 위로가 아닙니다. 위로받으려 하지 말고 그냥 우세요. 다만 눈물이 나올 때마다 아들이 하나님의 천사가 되어 천국에서 어머니의 우는 모습을 내려다보고 그 눈물에 기뻐하고 있으며 그 눈물을 하나님께 알려주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굳이 상처를 덮으려고도 나으려고도 하지 말라는 것이다. 울음은 “상처를 열려고 하는 끊임없는 욕망에서 나오는 것”이니 울음이 나오면 울면 되고 그 울음이 결국에는 하늘에 있는 아들에게 닿고 자비로운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다는 거다. 그는 위로의 말이 통하지 않는 그녀를 이런 식으로 위로하고 집으로 돌려보낸다. 그러다 보면 비통한 눈물이 언젠가 “조용한 슬픔의 눈물”로 바뀌고 마음의 안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사실 그것은 도스토옙스키가 아들을 잃고 고통스러워할 때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의 암브로시 장로가 해준 말이었다. 그 말을 기억했다가 소설에 등장하는 조시마 장로의 말로 바꾼 것이다. “위로받으려 하지 말고 그냥 우세요.” 위로받으려고 하지 말라는 장로의 말이 그의 고통을 다독였다. 세상의 불의와 부조리를 보는 우리는 민중이 쏟아내는 분노와 절망과 원망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러나 이재명과 종북 좌파의 소리는 세이렌(Siren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름다운 인간 여성의 얼굴에 독수리의 몸을 가진 전설의 동물. 경보를 뜻하는 사이렌siren은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의 음성처럼 뱃전에 몸을 묶고 들어야 한다. 세이렌은 여성의 유혹 내지는 속임수를 상징하는데 그 이유는 섬에 선박이 가까이 다가오면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하여 바다에 뛰어드는 충동질을 일으켜 죽게 만드는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전쟁에서 돌아오던 오디세우스가 밧줄로 몸을 묶고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이겼던 것처럼 하나님을 믿고 그 말씀을 전하는 우리도 거짓과 종북 좌파의 소리에는 성경에 몸과 마음을 묶고 이겨내야 한다. 기대한 김영우가 혼란에 빠뜨리고 기대하지 않은 이재서 총장이 회생시키고 임기를 마치는 총신 총장 후보 문병호 교수 김창훈 교수와 달리 박성규는 총신 교육과 거리가 먼 인물이다. 그런 그가 담임하던 부채 더미의 교회를 뒤로하고 총신 총장에 출사표를 용감하게 내밀었다. 그는 자신의 역량에 버거울 총신의 혁신과 도약을 위한 4대 비전(경건과 교육, 연구, 사회공헌, 산학협력)과 6대 목표(교육, 연구, 경영행정, 학생지원, 산학협력, 사회공헌)를 제시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 깜냥에 더하여 혁신과 도약을 추진하면서도 개혁신학과 경건 훈련을 기초로 훈련된 인재를 배출하는 전인격적인 교육지원체계 실현이라는 아무리 노력해도 이해하기 힘든 총신의 교육 방향성을 견지하겠다고 했단다. 박성규는 중점추진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선 재정 마련이 필수라며 이를 위한 적임자가 자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총회를 섬기며 신실한 네트워크와 신뢰 관계가 형성돼 있다”라며 “임기 내내 총회 산하 교회를 방문해 10만 재정후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4년간 300억 모금을 달성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지자체를 통해서도 재정 확보에 나서겠다고 주제넘게 밝혔다고 한다. 후보 중 유일하게 목회자인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카버넌트 신학교, 칼빈 신학교 등 미국의 개혁주의 신학교에서 목회자 출신 총장을 선임하는 추세라며 그 이유로 목회 경영 능력과 모금 능력을 높이 샀기 때문이란다. 가장 유력한 후보라는 낭설이 정설처럼 들리는 가운데 선출 권한을 가진 분들은 전쟁에서 돌아오던 오디세우스가 밧줄로 몸을 묶고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이겼던 것처럼 그런 낭설을 물리치고 이재서 총장이 기사회생시킨 총신을 바르게 세우고 발전시킬 교수 후보에게 관심을 돌려주기를 바라고 기도드린다. 성경은 말씀한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하나님이 너희 아버지였으면 너희가 나를 사랑하였으리니 이는 내가 하나님께로 나서 왔음이라 나는 스스로 온 것이 아니요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이니라 어찌하여 내 말을 깨닫지 못하느냐 이는 내 말을 들을줄 알지 못함이로다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을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 저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저가 거짓말장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니라 내가 진리를 말하므로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는도다 요 8:42-45 2023-03-20
    • G.OPINION
    • G.OPINION
    2023-03-20
  • 전광훈의 보수주의
    2023년 3월 12일(현지 시각) 미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 무대에 올라온 나발니의 아내 율리야 나발나야(46)는 할리우드 스타들과 관객들 앞에서 이렇게 수상 소감을 밝혔다. “내 남편(알렉세이 나발니)은 진실을 말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 당신과 우리나라가 자유로워질 날을 꿈꾸고 있습니다. 내 사랑, 힘내세요(Stay Strong). 고마워요.” 러시아의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이자 푸틴의 최대 정적인 남편 나발니(46)의 삶을 다룬 ‘나발니’가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을 받은 직후였다. 현재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감옥에서 수감 중인 남편을 위해서 전 세계에 실시간으로 응원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었다. 시상식에 참석한 이들 부부의 딸 다리야 역시 인터뷰에서 “영화가 많은 관심을 받게 되어 기쁘다. 우리는 아버지를 구출해낼 것이며 계속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나발니는 모스크바행(行) 비행기 기내에서 독극물 중독으로 쓰러졌다. 다큐멘터리 역시 나발니가 쓰러진 직후의 상황을 다룬다. 나발니는 독일 베를린으로 응급 이송된 뒤 입원 치료 끝에 다행히 생명을 건졌다. 하지만 소련 시절에 개발된 군사용 신경 작용제가 사용됐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적(政敵) 제거를 위한 러시아 당국의 암살 기도라는 의혹이 불거졌다. 2021년 러시아 귀국과 동시에 체포된 나발니는 횡령 등의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투옥됐다. 지난해에는 사기와 법정 모독 등의 혐의로 징역 9년형이 추가됐다. 2021년 유럽 의회가 수여하는 ‘사하로프 인권상’ 수상자로도 선정됐다. 2021년 8월 말 경기도 한 지역신문에 ‘화천대유는 누구 것입니까’라는 칼럼이 실렸을 때 이것이 훗날 ‘이재명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한 이는 많지 않았다. 시골 논밭의 화려한 변신, 대장동 미니 신도시는 ‘이재명의 업적’이었고 이걸 디딤돌로 이재명 시장은 이재명 도지사,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가 됐다. 그 시점에 의혹과 폭로가 연일 터져 나온 것이다. 당시 문재인 정부로선 당혹스러웠겠지만 고소·고발이 이어지니 수사에 나서지 않을 수도 없었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작은 불의(不義)보다 법이 무너진 다음의 큰 무질서를 더 경계한다. 법이 무너진 공백(空白)을 무질서가 메운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용의주도(用意周到)한 개혁주의자다. 아둔하고 게으른 보수주의자처럼 변화의 때를 놓치고 뒤늦게 과격한 방법으로 혁명을 진압하지 않는다. 그들은 작은 불씨와 불쏘시개를 적시(適時)에 치워 큰불을 예방한다. 가속(加速)페달만 달린 차를 모는 위선적 좌파와 다르다. 변화가 더딜 땐 가속페달을, 속도가 지나칠 땐 브레이크를 밟는 개혁주의자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혁명 구호가 아니라 착실한 실천에 의해서만 진보를 이룰 수 있다고 자신한다. 역사 속 실례(實例)가 그들의 자신감을 받쳐 준다. 그러기에 ‘민주화 운동가’라고 찍힌 명함을 들이미는 자들에게 주눅 들지 않는다. ‘20년 계속 집권’ 운운하는 과욕(過慾)도 부리지 않는다. 과욕을 부리지 않기에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검찰 위에 고위 공직자 수사처 신설 등 곧 철거될 옥상옥(屋上屋)을 올리는 어리석은 짓을 할 필요가 없다. 적의 위협을 정시(正視)하지 못하는 유화주의자(宥和主義者)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낭떠러지에 서야만 현실을 깨닫는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김정은 앞에서 스스로를 ‘남쪽 대통령’이라고 비하(卑下)한다 해서 위협은 줄지 않는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동맹의 효용과 그 한계(限界)를 안다. 김정은은 핵무기로 한국을 선제공격할 수 있다고 공언(公言)한다. 한미는 북이 서울을 핵 공격하면 북한에 핵 보복을 가하겠다는 확장억제론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게 정말 실행 가능할까.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이 비극적 시나리오에 질문을 던지며 나라를 지킬 현실적 대안(代案)을 절박하게 고민한다. 보수(保守)는 지키는 것이다. 진보(進步)는 나아가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보수는 우파, 진보는 좌파다. 좌파 정권은 국민의 삶에 적극 개입하는 큰 정부를 지향한다. 우파 정권은 시장 자율을 우선하고 간섭은 최소화한 작은 정부를 선호한다. 보수와 진보 이념은 이처럼 사회 변화나 발전을 추구하는 방식 그리고 속도의 차이일 뿐이다.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으로 접근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도 진보가 보수보다 더 정의롭다거나 정의를 진보의 전유물인 것처럼 주장하는 얼치기 이념 과잉세력이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물론 얼토당토않은 황당 궤변이다. 옳고 그름과 정의와 불의는 이념과 하등 상관이 없다. 어떤 이념 지대에 속해 있든 간에 그 안에 정의로운 사람도 있고 불의한 사람도 있는 게 자연의 섭리다. 이념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편을 가르는 이념확신범들이 집단 광기에 빠지면 그것보다 더 위험한 건 없다. 노조가 불법 파업을 해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불법 파업 조장법은 진보·보수 이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자유민주주의 근간인 법치를 훼손하는 악법일 뿐이다. 그런데도 정치 성향이 진보좌파니까 불법 파업 조장법을 무조건 지지해야 한다고 선동하는 것만큼 비상식적인 건 없다. 또 진보는 원래 핵을 반대하니 탈원전을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반과학적이고 상식에 벗어난다. 이 같은 교조적 도그마에 빠져 과학과 상식을 배척하는 순간 원리주의 광신도가 되는 것이다. 한 치의 이견도 허용치 않겠다는 전체주의 광기일 뿐이다. 민주화와 선진화 산업화를 모두 이룬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퇴행으로 몰아가는 열린 민주사회의 적들이다. 보수, 진보 모두가 원하는 건 상식이다. 어느 누구도 법 위에 군림하지 못하도록 법치를 곧추세우고 권력자에게 더 높은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고 나쁜 놈들은 지위고하·권력 유무에 상관없이 반드시 처벌해 법의 정의를 구현하고 잘못한 일은 뉘우치고 사과하고 염치를 챙기고 진영 논리와 미신 대신 과학과 상식을 따르고 위선과 내로남불을 배격하고 결과의 평등 대신 기회의 평등에 방점을 찍고 내 돈 아니라고 혈세를 무차별적으로 퍼주는 걸 막고 왜곡 선동으로 혹세무민하는 정치꾼들을 퇴출시키면 된다. 민주주의는 외부에서 이식한다고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제도가 아니며 선언만 한다고 이루어지는 체제도 아니다. 전쟁의 참상과 극한의 빈곤, 독재를 거치며 민주주의를 일구어낸 한국의 이야기가 세계적으로 값진 것도 그렇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전광훈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를 위해서 광화문 광장에서의 외침이 문재인과 이재명의 종북 좌파를 물리친 공적은 하나님의 은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라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너희 전에 있던 선지자들을 이같이 핍박하였느니라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데 없어 다만 밖에 버리워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마 5:10-13 2023-03-14
    • G.OPINION
    • G.OPINION
    2023-03-14

실시간 G.OPINION 기사

  • 오정호 부총회장 대회제 시도
    약점을 스스로 공개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일반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인간적인 약점들에 국한됐다. 예컨대 연설 도중 공황 발작을 일으키는 등의 심각한 결함을 공개하는 경우에는 진정성 있게 보이지 않았으며 무례하게 대우하거나 비윤리적으로 행동하는 등의 범법 행위를 공개하는 것도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리더가 약점을 자발적으로 공개해야 한다는 점이다. 관찰자가 어떤 인물에 대해 추론할 때는 그 인물의 의도를 고려한다. 따라서 리더가 억지로 또는 ‘들켜서’ 약점을 공유한다면 의도가 퇴색된 것이나 다름없다. 관리자가 약점을 자발적으로 공개할 때 예비 직원들은 관리자와 계속 일하고 싶은 마음이 컸고 신뢰 게임에서 관리자에게 더 많은 액수의 돈을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진정성은 협력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리더들은 ‘이미지가 전부’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진정성이 왕도’라는 마음가짐으로 다가가는 게 때론 더 유익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완벽하고 강한 이미지만 유지하려다 보면 사람들은 진정한 모습의 ‘일부분’만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반면 인간적으로 공감이 되는 결점을 공개하며 스스로의 취약성을 개방하면 오히려 사람들은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리더로 대할 것이다. 다른 자유도 있다. 일본 와카야마현의 76세 남성 노자키 고스케의 경우를 보자. 지난 3월 6일 방송에 따르면 어린 시절부터 노자키의 꿈은 큰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꿈을 이루었다. 수중에 7억 엔의 현금을 가지고 있을 정도의 큰 부자가 된 것이다. 왜 그는 그토록 돈을 많이 벌었나? 노자키는 자서전에서 이렇게 말했다. “마음에 드는 여자와 동침하기 위해 부자가 됐다. 지금까지 4천 명의 여성에게 3백억 원을 썼다. 앞으로도 그렇게 살겠다.” 그러던 그는 55세 연하인 21세 여성과 결혼했는데, 그 젊은 부인은 돈을 노리고 늙은 노자키를 살해했다. 성욕의 자유(?)를 추구했던 어떤 남자의 불꽃 같은 생애는 이렇게 끝났다. 또 다른 자유도 있다. 정치적 신념을 옳고 그름의 절대적 가치 판단의 잣대로 삼는 사람들이 놀라울 정도로 많은 점은 걱정스럽다. 그 맹신이 섬뜩할 정도다. 왜곡된 이념을 받아들인 탓이다. 보수(保守)는 지키는 것이다. 진보(進步)는 나아가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보수는 우파, 진보는 좌파다. 좌파 정권은 국민의 삶에 적극 개입하는 큰 정부를 지향한다. 우파 정권은 시장 자율을 우선하고 간섭은 최소화한 작은 정부를 선호한다. 보수와 진보 이념은 이처럼 사회 변화나 발전을 추구하는 방식 그리고 속도의 차이일 뿐이다.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으로 접근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도 진보가 보수보다 더 정의롭다거나 정의를 진보의 전유물인 것처럼 주장하는 얼치기 이념 과잉 세력이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물론 얼토당토않은 황당 궤변이다. 문재인과 이재명의 경우에서 보듯 옳고 그름과 정의와 불의는 이념과 하등 상관이 없다. 어떤 이념 지대에 속해 있든 간에 그 안에 정의로운 사람도 있고 불의한 사람도 있는 게 자연의 섭리다. 그런데도 이해관계로 갈리는 총회 정치판과 달리 일반 정치판은 돈 봉투는 물론이고 한술 더 떠 이념으로 편까지 가르는 후진적 행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치 성향으로 내 편 네 편 피아를 구분하고 적은 악마 화한다. 얼치기 진보에게 보수는 수구꼴통 토착왜구, 얼치기 보수에게 진보는 빨갱이일 뿐이다. 척결 대상이지 대화 상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듯 기독신문의 박민균 기자가 대회제 찬반에 대한 5월 9일 자 공정한 기사 '대회제 시행, 위험한가? 기우인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회제 시행연구위원회(위원장 석찬영 목사)가 목사장로기도회 개회를 앞두고 2023년 5월 8일 충현교회 갈릴리홀에서 공청회를 열었다. 발제는 오랫동안 총회의 제도와 행정을 연구하며 개선방안을 제시해 온 신현철 목사(마포중앙교회)와 수년 동안 대회제를 연구해 온 이종석 목사(광교제일교회)가 나섰다. 신 목사는 대회제 시행 반대 입장에서, 이 목사는 찬성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했다. 신현철 목사는 ‘대회제 시행 요구의 배경과 그 위험성’이란 주제로 대회제를 시행하기에 앞서 선결해야 할 문제와 위험성을 지적했다. 선결해야 할 문제는 크게 4가지다. 먼저 헌법 조문에 총회와 대회의 기능이 거의 동일하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현재 헌법대로 대회제를 시행하면 사실상 각 지역의 대회가 총회와 동등한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되고 결국 총회가 여러 개 구성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신학교, 총회 재산권, 무지역 노회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위험성으로 △총회가 더욱 정치화하고 대회를 중심으로 지역 패권주의 형성 △지역(대회)의 직영 신학교 확대와 총신신대원의 약화, 총회 신학의 통일성, 정체성 약화 △총회의 권위 축소와 은급재단, 유지재단 등 재산권 다툼 △대회 내의 갈등과 분쟁으로 인한 분열(한 지역 다 대회 위험) 등을 지적했다. 이런 우려에 이종석 목사는 “지나친 염려이며 기우”라며 “염려보다는 대회제를 통해 총회가 더 발전하기를 기도하면서 시행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목사는 △거대해진 총회를 분산시켜 효율적으로 운영 △지역 분권으로 새로운 선교 패러다임을 창출 △다양한 인재를 개발하고 정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한 신 목사가 제기한 여러 위험성도 사전 예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대회 조직을 현재 3개 노회에서 25~30개 노회로 구성토록 하고 목사의 자격을 지금처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자’로 규정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은급재단과 유지재단은 대회에서 운영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제왕적 총회장’이란 말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총회장과 총회임원회의 역할을 조금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회제연구위는 2023년 2월 21일 실제로 미래지향적인 장봉생 목사가 위원장인 미래정책전략개발위원회와 연석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교단 분열’과 ‘서북지역’이었다. 교단분열은 대회제를 시행했을 때 가장 우려하는 것이다. 총대들도 설문조사에서 대회제를 반대하는 첫 번째 이유로 ‘총회가 더욱 정치화 되어 교단분열의 위험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대회제연구위의 한 위원도 “대회제를 시행할 경우 호남 지역은 정치적 갈등과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서북지역은 대회제를 시행할 때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미래정책위의 한 위원은 “대회제는 지방자치제다. 현재 무지역인 서북 지역 노회들은 전국에 교회가 있다. 서북대회를 구성하면 사실상 전국 대회인 셈”이라며 “서북노회를 모두 지역화할 수 있는가? 예수님 오실 때까지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총회와 총회장의 위상이 약화 돼 한국교회 연합사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미래정책위 장봉생 위원장은 “현재 총회의 중앙집권적 구조는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회제를 시행해서 나타날 문제들을 예상할 수 있다. 이 문제들을 미리 파악해서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참으로 놀라운 탁견이고 지혜로운 지도자다운 지적이다. 덧붙이건대 문명의 발달로 즉 철도와 전화기의 발명으로 시간(현재 시각)의 차이, 지역마다 나라마다 각자의 시간관념으로 살던 인류가 공통된 24시간이라는 단위를 만들게 됐다. 말을 타고 여행하던 미국인이 기차로 LA에 아침에 도착해 뉴욕 가족에게 전화했더니 밤이라 자고 있던 사람을 깨우게 됐다. 이후 의아해 조사해보니 지구촌을 비교적 단시간에 왕래하고 통신하면서 이 24시간 또한 국가 간의 밤, 낮 차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때에 있는 것을 보고 세계 시간의 표준을 만듦과 동시에 국가마다 이 현재 시간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환산하게 됐다. 그 정도의 면적을 가진 나라는 대회제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전국 세 시간 거리의 대한민국에서 경상도 말로 "무신 대회제고"라는 말이 나오지 않겠는가. 이념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편을 가르는 이념확신범들이 집단 광기에 빠지면 그것보다 더 위험한 건 없다. 노조가 불법 파업을 해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불법파업조장법은 진보·보수 이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자유민주주의 근간인 법치를 훼손하는 악법일 뿐이다. 그런데도 정치 성향이 진보좌파니까 불법파업조장법을 무조건 지지해야 한다고 선동하는 것만큼 비상식적인 건 없다. 또 진보는 원래 핵을 반대하니, 탈원전을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반과학적이고 상식에 벗어난다. 이 같은 교조적 도그마에 빠져 과학과 상식을 배척하는 순간 원리주의 광신도가 되는 것이다. 대회제 역시 상식을 벗어나면 안 될 것이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겠는가. 이재명은 치밀한 두뇌로 거미줄처럼 감겨 오는 사법 리스크를 헤쳐 왔다. 반면 자신의 정치 생명을 판돈 삼아 큰 승부를 모색하는 담대한 심장을 보여준 적은 없다. 그래서 이번에도 정면 승부를 피해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을 치르고 나서 이재명 자신이 ‘가지 않은 길’을 되돌아보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며 한숨짓는 프로스트의 시 구절을 떠올리게 될지 모른다. 총신대를 장악한 것 같은 의혹을 품게 하는 오정호가 대회제를 통해 총회를 장악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위험성 역시 내년, 자신이 ‘가지 않은 길’을 되돌아보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며 한숨짓는 프로스트의 시 구절을 떠올리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총회도 총신도 다 잃은 김영우처럼... 성경은 말씀한다. 그들이 가증한 일을 행할 때에 부끄러워하였느냐 아니라 조금도 부끄러워 아니할뿐 아니라 얼굴도 붉어지지 않았느니라 그러므로 그들이 엎드러지는 자와 함께 엎드러질 것이라 내가 그들을 벌하리니 그때에 그들이 거꾸러지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는 길에 서서 보며 옛적 길 곧 선한 길이 어디인지 알아보고 그리로 행하라 너희 심령이 평강을 얻으리라 하나 그들의 대답이 우리는 그리로 행치 않겠노라 하였으며 렘 6:15-16 2023-05-10
    • G.OPINION
    • G.OPINION
    2023-05-10
  • 권순웅 총회장의 언어
    제대로 된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말뿐인 미사여구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국가건 총회건 개인이건 사기와 기만으로 만들어진 성은 결국 무너진다. 마지막에 살아남는 건 진짜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치와 목회에서 언어(language)는 은혜와 기적의 원료다. 무엇보다 총회 리더의 언어는 가능한 한 짧고 단순 명쾌해야 된다. 특히 총회장과 총무의 언어는 총회 품격(品格)의 핵이다. 품격이란 품성과 인격을 줄인 단어로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또 사물 따위에서 느껴지는 품위를 뜻한다. 그런 점에서 제107회 권순웅 총회장의 각 모임의 설교와 강연은 정곡을 찌르는 소프트파워(Soft Power)의 백미(白眉)이고 열매가 있는 샬롬 부흥의 알곡이다. 세계적인 명설교와 명연설의 공통점은 결코 어렵지 않으며 삶의 익숙한 보편적 진리를 통해 벅찬 감동을 이끌어 낸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명한 설교나 연설은 중학생 정도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많은 리더들이 마이크 앞에만 서면 자신을 고급스럽게 포장하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그러나 지도자의 말은 언필유중(言必有中), 말하기만 하면 반드시 이치(理致)에 들어맞아야 한다. 리더의 언어는 곧 그 조직의 품격이자 위상이기 때문이다. 깨진 종은 소리를 내지 못하는 법이다. 정치에 관한 온갖 이론이 있지만 정치의 기본 토대는 결국 ‘상식’과 ‘신뢰’다. ‘상식’과 ‘신뢰’가 흔들리면 전문 지식을 동원해 그 위에 그럴듯한 이론을 세워도 궤변(詭辯)이 되고 만다. 이재명은 경기지사 선거 토론 때도 친형의 정신병원 강제 입원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허위 발언을 해 항소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았지만 대법원이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 하면서 대선에 출마할 수 있었다. TV토론에선 거짓말을 해도 된다는 황당한 판결이었지만 대법원도 거짓말이란 점은 인정했다. 그런데도 거짓말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각종 의혹을 둘러싼 이재명의 해명은 총무 연임에 나선 고영기의 새에덴교회에서의 출정사처럼 갈수록 상식에서 벗어나고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나의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 도시의 밤 골목을 헤매다니며 두리번거렸다. 가로등도 드문 좁은 길에서 나는 누군가의 쉼터이자 희망일 수도 또 전쟁터이자 고통일 수도 있는 교회들을 보곤 했다. 가난은 감출 수 없는 것이라지만 어둠 속의 작은 교회들은 나의 눈과 마음에서 초라함을 이겨내고 아름다움을 입었다. 어디로부터 온 것인지 알 수 없는 불빛이 흰 벽에 잔잔한 풍경화를 새겼고 석양처럼 붉은빛을 드리웠다. 벽은 희고 지붕은 푸른 집은 언뜻 지중해의 작은 섬에라도 온 듯한 착각을 불러온다. 어둠은 많은 것을 가렸고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바라보듯이 그 교회들을 보았다. 비탈진 언덕 위 자리 잡은 옛날 교회들은 비좁은 땅에 알차게 들어앉아 있었다. 내부 구조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창들은 작게 나뉘어 있었다. 그 창틀 안에선 금요 철야 기도로 누군가 하루의 믿음을 달래고 있었을 테고 토요일 새벽이 오면 출입문이랄 것도 없는 교회 여닫이문을 드르륵 열고 믿음으로 빛을 안고 나왔을 것이다. 무엇인들 늘 빛나기만 할까. 눈이 부시게 빛나는 순간은 자주 오지 않는다. 그래서 더 귀하다. 교회의 역사는 언제나 전진의 역사다. 예수님은 승천하시기 전에 제자들을 향하여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말씀하셨다. 계속 전진할 것을 이르셨다. 예루살렘에서 유대로 사마리아로 전진했다. 다시 유럽으로 아시아로 전 세게 교회로 전진했다. 그래서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칼빈(John Calvin 1509년~1564)은 죽기 5년 전 1559년 8월 1일 자신의 라틴어판 저서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를 위해 쓴 ‘저자의 마지막 개정판에 덧붙인 서문’에서 말했다. I may further observe, that my object in this work has been, so to prepare and train candidates for the sacred office, for the study of the sacred volume, that they may both have an easy introduction to it, and be able to prosecute it with unfaltering step; 이 저술에 있어서 나의 목적은 신성한 책(the sacred volume 성경) 공부를 위하여 성직후보자(聖職候補者 목사후보생 candidates for the sacred office)들을 준비시키고 훈련 시키기 위해(so to prepare and train) 진술하는(observe) 것일 수 있습니다. 목사후보생들이 성경의 쉬운 개론(槪論)에 접할 수 있고 흔들림 없이(with unfaltering step) 그것을 실행할(prosecute) 수 있도록 말입니다. 칼빈은 신자들에게 하나님 말씀의 순종을 가르치고, “우리는 풍부하든 풍부하지 않든 사람들을 돌보아야 한다”며 신자들이 서로 협력하며 살도록 가르쳤다. 그것이 칼빈의 신앙이었다. 그렇듯 제107회 총회장 권순웅 목사의 '샬롬 부흥'을 향한 설교와 강연은 총회 산하 교역자와 신자와 피 전도자들이 어떠한 형편에서든 서로 협력하며 살도록 가르치는 칼빈 사상의 재현이다. 총회 107년 역사상 전무후무한... 성경은 말씀한다. 하나님 앞과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실 그리스도 예수 앞에서 그의 나타나실 것과 그의 나라를 두고 엄히 명하노니 너는 말씀을 전파하라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힘쓰라 범사에 오래 참음과 가르침으로 경책하며 경계하며 권하라 딤후 4:1-2 2023-05-06
    • G.OPINION
    • G.OPINION
    2023-05-06
  • 고영기 달란트
    난 지금껏 말씀을 전하는 설교에 높낮이가 있다는 생각으로 일을 해왔다. 그걸 겉으로 내세우지 않았어도 어쩔 수 없이 설교의 우와 열을 판단하며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거나 글을 쓰곤 했다. 나이를 먹을수록 모든 설교를 아우르고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이 좋아 보일지는 모른다. 그러나 나이만큼 더 많은 설교를 들을수록 어떤 설교가 더 좋고 훌륭한지를 생각하게 된다. 자기 시무 교회 광고시간에도 주군의 소식을 알리고 강남의 총무 관사 매각 의혹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비상근 총무라 고영기는 총회 총무실에 제대로 출근을 하지 않았다. 그런 고영기가 허리도 온전치 않은 데 비상근에서 상근으로 환원된 총무 관사도 팔아치운 총회 총무 재임 도전 이유를 새에덴교회(소강석 시무)에서 당당히 밝혔다. “한국교회 연합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 그 사명감을 일깨웠기 때문이다.” 졸지에 바뀐 총무제도로 비상근 총무라 총회를 제대로 출근하지 않고 3년을 보낸 고영기는 2023년 4월 23일 새에덴교회(소강석 시무)에서 드린 ‘한국교회 연합사역과 회복을 위한 예배 및 기도회’ 설교자로 나섰다. 고영기는 ‘한국교회 연합의 꿈, 반드시 이루리라’는 제목으로 강단에 올라 자칭 광대 소강석 총회장 재임 시절에 펼쳤던 통합 불발을 아쉬워하며 한국교회 연합기관 통합 사역을 반추했다고 한다. 그는 소강석 설교에 감동을 받았다는 이재명처럼 천연덕스럽게 뇌까리고 기독신문은 아무런 논평 없이 말 그대로 전했다. “한국교회 연합기관의 하나 됨이 거의 이루어진 상황이었다. 하지만 기득권과 권력 유지, 교권 다툼과 자리싸움에 함몰돼 통합이 지연됐다. 결국 한국 교회 하나 됨을 향한 간절한 의지와 마음이 없었던 것이다.” 그는 은퇴를 3년 앞두고 있어서 재임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무 제도에도 어긋나고 총회 선거법도 범할 소지가 있고 총회 정서도 거스르는 그의 아부성 본심을 모처럼 무심하게 드러냈다. 더불어 그의 마음 좋은 주군의 면모와 명예도 깎아내리고 말았다. 기독신문 기자는 두고두고 총회선거법 위반 증거와 가십(신문·잡지 등에서 유명한 사람의 사생활에 대해 험담을 늘어놓은 기사)으로 회자(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게 되는 것을 일컫는 표현) 될 말을 가감 없이 전했다. “소 목사님이 1시간 넘게 한국교회 연합사역의 사명을 이야기하셨다. 저에게 새로운 사명과 방향을 제시하셨다”라며 소강석 목사를 통해 결정적으로 총회 총무 재선에 나섰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하나님께서 한국교회 연합의 꿈을 반드시 이루실 것으로 믿는다. 한국교회 지도자들의 마음을 감동시키시고 연합을 향한 뜨거운 의지를 불타오르게 하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성도들과 함께 ‘한국교회 연합과 목회 생태계 회복’을 위해 특별기도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총회 총무 재선에 도전하는 고영기 목사와 그를 지원하는 소강석 목사가 함께 출정식을 가진 것과 다름없었다. 소강석 목사는 “고 목사님은 교회연합 사역에서 잊을 수 없는 동역자”라고 말했다. “인물난을 겪고 있는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인재”라고 치켜세웠다. 소 목사는 “고 총무님과 3년 동안 사역했다. 교회연합기관 통합을 거의 했는데 반대하는 몇 사람 때문에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생각하면 정말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탄식했다. 소 목사는 “연합사역은 반드시 이루어야 한다. 연합하지 않으면 한국교회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라며 “하나님께서 연합을 이루실 것으로 확신한다. 반드시 한국교회가 연합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의지를 다졌다. 결국 소강석 목사는 예장합동 총회가 한국교회연합의 중심 역할을 맡아야 하고 이 사역을 위해 고영기 목사가 총회 총무로 사역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회 선거법에 따라 5월부터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고영기 목사를 4월 마지막 주일에 설교자로 세워 응원했다. 그 둘을 잘 아는 분에게 왜 저렇게 별 능력이 없는 자를 능력이 많으신 분이 어째서 좋아하시느냐고 물었다. 그는 말 대신 오른손과 왼손을 위아래로 겹쳐 부비는 시늉을 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운영하는 조선왕조실록 사이트에서 원문 검색을 하면 ‘勤勞(근로)’는 615회, ‘勞動(노동)’은 354회 등장한다. 수백 년 전 사람들은 노동보다 근로를 더 익숙하게 사용한 셈이다. 가령 임진왜란 후 이순신을 공신으로 봉할 때는 “왜적을 쓸어내며 7년간 열심히 근로하였다”라고 적었다. 임금이라고 다르지는 않았다. 경복궁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인 근정전(勤政殿)의 뜻을 새겨 보자. 부지런히 다스리는 대궐이라는 말이다.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아들들에게 보낸 편지에 “밭뙈기 하나 물려주지 못하지만 ‘근(勤)’과 ‘검(儉)’ 두 글자를 유산으로 남긴다”라고 썼다. 기름진 논밭 대신 평생 써도 닳지 않을 정신을 상속한 것이다. 부지런할 근(勤)은 이렇듯 조상들이 권장한 미덕이었다. 현대에는 부지런하다는 의미가 약화되거나 소실되면서 근로는 사실상 노동과 거의 같은 뜻을 지니게 됐다. 그림에도 참혹한 임진왜란 후 나라를 구한 성웅 이순신 장군을 공신으로 봉할 때는 “왜적을 쓸어내며 7년간 열심히 근로하였다”라고 적었다. 이제 후안무치 총무 연임에 도전하는 고영기가 총회가 명하지도 않은 교회연합 사업 운운하며 3년간 총회를 위해 열심히 근로하였다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 그러나 아무리 변함없는 좋은 심성을 지닌 그의 광대 주군일지라도 3년 뒤 “인물난을 겪고 있는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인재”라고 다음에도 치켜세울 수 있을까. 성경은 말씀한다. 한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가로되 주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받으셨나이다 그 주인이 대답하여 가로되 악하고 게으른 종아 나는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로 네가 알았느냐 그러면 네가 마땅히 내 돈을 취리하는 자들에게나 두었다가 나로 돌아와서 내 본전과 변리를 받게 할 것이니라 하고 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어라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갊이 있으리라 하니라 마 25:24-30 2023-05-03
    • G.OPINION
    • G.OPINION
    2023-05-03
  • 제108회 부총회장 후보 공감 능력
    꽃한테 다가서면 믿음에 찔려, 삐거나 부은 마음 금세 환해지고 선해지니 봄엔 아무 꽃이라도 한번 찔리고 볼 일이다. 생생한 꽃들일수록 슬쩍 한 귀퉁이를 손톱으로 상처 내본다, 피 흘리는지 본다. 가짜를 사랑하긴 싫다. 인생을 좋은 길로 만드는 것은 중간쯤 나 있는 근사한 비상구가 아니라 그 길을 가는 사람의 결의다. 따라서 불안하지 않는 삶을 원한다면 최대한 '직선'의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선의 삶을 가기 위한 가장 완벽한 준비물은 ‘끈기’와 ‘결의’다. 자신의 인생길을 망치는 것은 불확실성이 던져준 혼란이나 선택의 오류 때문이 아니라 결국 자신의 변덕 때문이다. 그 빛나는 깨달음이 참다운 지혜이다. 모든 생물은 가멸찬 삶, 즉 부를 향한 갈망을 품고 있다. 부(富)는 술 단지처럼 배가 불룩한 그릇을 뜻하는 복과 사당을 뜻하는 면이 합쳐진 말이다. 본래 신께 바치는 공물이 넉넉하다는 의미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의 정치경제학자이자 윤리철학자이다. 후대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국부론’(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의 저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년 6월 5일 ~ 1790년 1월 12일)는 공감의 철학자였다. 스미스의 부친은 연합조약의 영향으로 스코틀랜드 해안에 밀수가 급증한 것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것을 지켜본 애덤 스미스는 인간의 거짓됨의 참람함을 깨닫고 정부의 법과 규칙을 강화하는 방법 즉 관세보호 등을 찾게 되었다. 이것이 나중에 "국부론"을 쓰는 계기가 된 것이다. 공감이란 무엇인가. 다른 이의 처지에서 그의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18세기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큰 산이었던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년 4월 26일 - 1776년 8월 25일)은 현악기가 공명하는 것과 같은 공감을 말했다. 그러나 스미스의 공감은 단순한 반향이 아니었다. 공감은 슬퍼하거나 아파하는 이의 자리로 가서 그가 왜 그런 감정을 느끼는지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다. 인간은 상상하고 공감할 수 있기에 올바른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나를 지켜보는 가장 공정한 관찰자를 상상하고 그의 자리로 가서 그의 눈으로 자신의 행동을 보라. 그는 나의 위대한 재판관이 된다. 스미스는 자기애라는 가장 강력한 충동에 맞설 수 있는 대항력은 인간애의 부드러운 힘도, 자연이 인간의 가슴속에 피워놓은 자비심의 연약한 불꽃도 아니다. 그것은 바로 자신에게 믿음의 채찍을 내려치는 공정한 성령의 감동이다. 스미스는 조선의 정조가 임금에 오른 1776년 '국부론'을 냈다. 17년 먼저 펴낸 '도덕 감정론'은 30년 넘게 다듬었다. 그는 언어와 모방예술도 탐구했다. 하지만 훗날 챗GPT나 미드저니가 나오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을 것이다. 그는 기껏 제임스 와트가 만든 원시적인 복사기를 보고 놀라워했다. 여기서 간단한 사고실험을 해보자. 타임슬립을 한 그가 오늘날의 챗봇을 봤다면 뭐라고 할까. 노동자가 단순 작업만 되풀이하다 창의력을 잃고 무지해지는 것을 걱정했던 그는 일자리 문제부터 고민할 것이다. 가르치는 척조차 않는 옥스퍼드대의 교수들을 비난했던 스미스는 변화에 둔감한 오늘날 총신대학 교육도 질타할 것이다. 인간 본성에 관한 더 근본적인 물음도 던질 것이다. 이 신기한 로봇 챗GPT는 과연 사람처럼 상상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지닐 수 있을까. 공정한 잣대로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는 있을까. 사실 완벽하게 합리적이라는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경제인)는 오로지 경제적 합리성에만 기초를 두어 개인주의적으로 행동하는 인간이 아니다. 때로는 놀랄 만큼 어리석고 잔인하며 파괴적이다. 그럼에도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가 본 인간은 다른 사람의 운명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행복을 바라보는 즐거움밖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할지라도' 그 행복이 자기에게 필요하다고 여기는 사람이다. 제104회 총회장 이승희 목사는 제108회 부총회장 후보 남태섭 목사와 김종혁 목사에 대해 말했다. "서로 상대가 있으니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알겠죠." 제107회 감사부장 김경환 장로는 말했다. "남태섭 목사는 같은 노회 분이고 김종혁 목사는 대학교 동창입니다." 우리는 자기 삶의 저자인 동시에 독자이다. 인생을 멋진 소설로 남기고 싶다면 변덕에 휘둘리지 말고 믿음을 따라 똑바로 자신의 길을 가야 한다. 성경은 말씀한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선진들이 이로써 증거를 얻었느니라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 히 11:1-3 2023-04-18
    • G.OPINION
    • G.OPINION
    2023-04-18
  • 총신 총장 후보 세이렌과 사이렌
    푸른 불 신호가 꿈처럼 어리는 거기 작은 예배당 같은 정거장이 있다. 빈 대합실에는 기도하거나 의지할 의자 하나 없다. 이따금 고속열차만 쾌속으로 순간 지나간다. 눈이 오고 비가 오거나 아득한 선로 위에 없는 듯 있는 듯 거기 조그마한 정거장처럼 내가 있다. 작가는 때로 자신의 고통을 언어로 파고 새긴다. 가장 가혹한 형벌은 전혀 무익하고 무의미한 일을 지속하는 것이라고 말한 도스토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1821년 11월 11일 ~ 1881년 2월 9일)도 그러했다. 그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쓰고 있던 1878년 5월 16일, 막내아들 알료샤가 죽었다. 그에게서 물려받은 간질 때문이었다. 아버지 때문에 아들이 죽은 것이다. 그가 느끼는 고통과 죄의식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것이 그의 소설까지 파고들었다. 아이를 잃고 비통해하는 어머니가 그의 소설에 등장하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죽은 아이가 그의 아들처럼 석 달이 모자라는 세 살이었고 이름이 알료샤라는 것도 우연이 아니었다. 소설에서 아이를 잃은 어머니는 울기만 한다. 삶은 망가지고 가정도 망가졌고 집을 나온 지 3개월이나 되었다. 조시마 장로를 찾아간 이유다. 그렇게라도 해야 살 것 같았다. 그런데 장로는 의외의 말을 한다. “당신한테 필요한 것은 위로가 아닙니다. 위로받으려 하지 말고 그냥 우세요. 다만 눈물이 나올 때마다 아들이 하나님의 천사가 되어 천국에서 어머니의 우는 모습을 내려다보고 그 눈물에 기뻐하고 있으며 그 눈물을 하나님께 알려주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굳이 상처를 덮으려고도 나으려고도 하지 말라는 것이다. 울음은 “상처를 열려고 하는 끊임없는 욕망에서 나오는 것”이니 울음이 나오면 울면 되고 그 울음이 결국에는 하늘에 있는 아들에게 닿고 자비로운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다는 거다. 그는 위로의 말이 통하지 않는 그녀를 이런 식으로 위로하고 집으로 돌려보낸다. 그러다 보면 비통한 눈물이 언젠가 “조용한 슬픔의 눈물”로 바뀌고 마음의 안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사실 그것은 도스토옙스키가 아들을 잃고 고통스러워할 때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의 암브로시 장로가 해준 말이었다. 그 말을 기억했다가 소설에 등장하는 조시마 장로의 말로 바꾼 것이다. “위로받으려 하지 말고 그냥 우세요.” 위로받으려고 하지 말라는 장로의 말이 그의 고통을 다독였다. 세상의 불의와 부조리를 보는 우리는 민중이 쏟아내는 분노와 절망과 원망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러나 이재명과 종북 좌파의 소리는 세이렌(Siren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름다운 인간 여성의 얼굴에 독수리의 몸을 가진 전설의 동물. 경보를 뜻하는 사이렌siren은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의 음성처럼 뱃전에 몸을 묶고 들어야 한다. 세이렌은 여성의 유혹 내지는 속임수를 상징하는데 그 이유는 섬에 선박이 가까이 다가오면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하여 바다에 뛰어드는 충동질을 일으켜 죽게 만드는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전쟁에서 돌아오던 오디세우스가 밧줄로 몸을 묶고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이겼던 것처럼 하나님을 믿고 그 말씀을 전하는 우리도 거짓과 종북 좌파의 소리에는 성경에 몸과 마음을 묶고 이겨내야 한다. 기대한 김영우가 혼란에 빠뜨리고 기대하지 않은 이재서 총장이 회생시키고 임기를 마치는 총신 총장 후보 문병호 교수 김창훈 교수와 달리 박성규는 총신 교육과 거리가 먼 인물이다. 그런 그가 담임하던 부채 더미의 교회를 뒤로하고 총신 총장에 출사표를 용감하게 내밀었다. 그는 자신의 역량에 버거울 총신의 혁신과 도약을 위한 4대 비전(경건과 교육, 연구, 사회공헌, 산학협력)과 6대 목표(교육, 연구, 경영행정, 학생지원, 산학협력, 사회공헌)를 제시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 깜냥에 더하여 혁신과 도약을 추진하면서도 개혁신학과 경건 훈련을 기초로 훈련된 인재를 배출하는 전인격적인 교육지원체계 실현이라는 아무리 노력해도 이해하기 힘든 총신의 교육 방향성을 견지하겠다고 했단다. 박성규는 중점추진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선 재정 마련이 필수라며 이를 위한 적임자가 자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총회를 섬기며 신실한 네트워크와 신뢰 관계가 형성돼 있다”라며 “임기 내내 총회 산하 교회를 방문해 10만 재정후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4년간 300억 모금을 달성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지자체를 통해서도 재정 확보에 나서겠다고 주제넘게 밝혔다고 한다. 후보 중 유일하게 목회자인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카버넌트 신학교, 칼빈 신학교 등 미국의 개혁주의 신학교에서 목회자 출신 총장을 선임하는 추세라며 그 이유로 목회 경영 능력과 모금 능력을 높이 샀기 때문이란다. 가장 유력한 후보라는 낭설이 정설처럼 들리는 가운데 선출 권한을 가진 분들은 전쟁에서 돌아오던 오디세우스가 밧줄로 몸을 묶고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이겼던 것처럼 그런 낭설을 물리치고 이재서 총장이 기사회생시킨 총신을 바르게 세우고 발전시킬 교수 후보에게 관심을 돌려주기를 바라고 기도드린다. 성경은 말씀한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하나님이 너희 아버지였으면 너희가 나를 사랑하였으리니 이는 내가 하나님께로 나서 왔음이라 나는 스스로 온 것이 아니요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이니라 어찌하여 내 말을 깨닫지 못하느냐 이는 내 말을 들을줄 알지 못함이로다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을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 저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저가 거짓말장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니라 내가 진리를 말하므로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는도다 요 8:42-45 2023-03-20
    • G.OPINION
    • G.OPINION
    2023-03-20
  • 전광훈의 보수주의
    2023년 3월 12일(현지 시각) 미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 무대에 올라온 나발니의 아내 율리야 나발나야(46)는 할리우드 스타들과 관객들 앞에서 이렇게 수상 소감을 밝혔다. “내 남편(알렉세이 나발니)은 진실을 말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 당신과 우리나라가 자유로워질 날을 꿈꾸고 있습니다. 내 사랑, 힘내세요(Stay Strong). 고마워요.” 러시아의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이자 푸틴의 최대 정적인 남편 나발니(46)의 삶을 다룬 ‘나발니’가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을 받은 직후였다. 현재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감옥에서 수감 중인 남편을 위해서 전 세계에 실시간으로 응원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었다. 시상식에 참석한 이들 부부의 딸 다리야 역시 인터뷰에서 “영화가 많은 관심을 받게 되어 기쁘다. 우리는 아버지를 구출해낼 것이며 계속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나발니는 모스크바행(行) 비행기 기내에서 독극물 중독으로 쓰러졌다. 다큐멘터리 역시 나발니가 쓰러진 직후의 상황을 다룬다. 나발니는 독일 베를린으로 응급 이송된 뒤 입원 치료 끝에 다행히 생명을 건졌다. 하지만 소련 시절에 개발된 군사용 신경 작용제가 사용됐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적(政敵) 제거를 위한 러시아 당국의 암살 기도라는 의혹이 불거졌다. 2021년 러시아 귀국과 동시에 체포된 나발니는 횡령 등의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투옥됐다. 지난해에는 사기와 법정 모독 등의 혐의로 징역 9년형이 추가됐다. 2021년 유럽 의회가 수여하는 ‘사하로프 인권상’ 수상자로도 선정됐다. 2021년 8월 말 경기도 한 지역신문에 ‘화천대유는 누구 것입니까’라는 칼럼이 실렸을 때 이것이 훗날 ‘이재명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한 이는 많지 않았다. 시골 논밭의 화려한 변신, 대장동 미니 신도시는 ‘이재명의 업적’이었고 이걸 디딤돌로 이재명 시장은 이재명 도지사,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가 됐다. 그 시점에 의혹과 폭로가 연일 터져 나온 것이다. 당시 문재인 정부로선 당혹스러웠겠지만 고소·고발이 이어지니 수사에 나서지 않을 수도 없었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작은 불의(不義)보다 법이 무너진 다음의 큰 무질서를 더 경계한다. 법이 무너진 공백(空白)을 무질서가 메운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용의주도(用意周到)한 개혁주의자다. 아둔하고 게으른 보수주의자처럼 변화의 때를 놓치고 뒤늦게 과격한 방법으로 혁명을 진압하지 않는다. 그들은 작은 불씨와 불쏘시개를 적시(適時)에 치워 큰불을 예방한다. 가속(加速)페달만 달린 차를 모는 위선적 좌파와 다르다. 변화가 더딜 땐 가속페달을, 속도가 지나칠 땐 브레이크를 밟는 개혁주의자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혁명 구호가 아니라 착실한 실천에 의해서만 진보를 이룰 수 있다고 자신한다. 역사 속 실례(實例)가 그들의 자신감을 받쳐 준다. 그러기에 ‘민주화 운동가’라고 찍힌 명함을 들이미는 자들에게 주눅 들지 않는다. ‘20년 계속 집권’ 운운하는 과욕(過慾)도 부리지 않는다. 과욕을 부리지 않기에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검찰 위에 고위 공직자 수사처 신설 등 곧 철거될 옥상옥(屋上屋)을 올리는 어리석은 짓을 할 필요가 없다. 적의 위협을 정시(正視)하지 못하는 유화주의자(宥和主義者)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낭떠러지에 서야만 현실을 깨닫는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김정은 앞에서 스스로를 ‘남쪽 대통령’이라고 비하(卑下)한다 해서 위협은 줄지 않는다.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동맹의 효용과 그 한계(限界)를 안다. 김정은은 핵무기로 한국을 선제공격할 수 있다고 공언(公言)한다. 한미는 북이 서울을 핵 공격하면 북한에 핵 보복을 가하겠다는 확장억제론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게 정말 실행 가능할까.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이 비극적 시나리오에 질문을 던지며 나라를 지킬 현실적 대안(代案)을 절박하게 고민한다. 보수(保守)는 지키는 것이다. 진보(進步)는 나아가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보수는 우파, 진보는 좌파다. 좌파 정권은 국민의 삶에 적극 개입하는 큰 정부를 지향한다. 우파 정권은 시장 자율을 우선하고 간섭은 최소화한 작은 정부를 선호한다. 보수와 진보 이념은 이처럼 사회 변화나 발전을 추구하는 방식 그리고 속도의 차이일 뿐이다.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으로 접근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도 진보가 보수보다 더 정의롭다거나 정의를 진보의 전유물인 것처럼 주장하는 얼치기 이념 과잉세력이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물론 얼토당토않은 황당 궤변이다. 옳고 그름과 정의와 불의는 이념과 하등 상관이 없다. 어떤 이념 지대에 속해 있든 간에 그 안에 정의로운 사람도 있고 불의한 사람도 있는 게 자연의 섭리다. 이념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편을 가르는 이념확신범들이 집단 광기에 빠지면 그것보다 더 위험한 건 없다. 노조가 불법 파업을 해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불법 파업 조장법은 진보·보수 이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자유민주주의 근간인 법치를 훼손하는 악법일 뿐이다. 그런데도 정치 성향이 진보좌파니까 불법 파업 조장법을 무조건 지지해야 한다고 선동하는 것만큼 비상식적인 건 없다. 또 진보는 원래 핵을 반대하니 탈원전을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반과학적이고 상식에 벗어난다. 이 같은 교조적 도그마에 빠져 과학과 상식을 배척하는 순간 원리주의 광신도가 되는 것이다. 한 치의 이견도 허용치 않겠다는 전체주의 광기일 뿐이다. 민주화와 선진화 산업화를 모두 이룬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퇴행으로 몰아가는 열린 민주사회의 적들이다. 보수, 진보 모두가 원하는 건 상식이다. 어느 누구도 법 위에 군림하지 못하도록 법치를 곧추세우고 권력자에게 더 높은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고 나쁜 놈들은 지위고하·권력 유무에 상관없이 반드시 처벌해 법의 정의를 구현하고 잘못한 일은 뉘우치고 사과하고 염치를 챙기고 진영 논리와 미신 대신 과학과 상식을 따르고 위선과 내로남불을 배격하고 결과의 평등 대신 기회의 평등에 방점을 찍고 내 돈 아니라고 혈세를 무차별적으로 퍼주는 걸 막고 왜곡 선동으로 혹세무민하는 정치꾼들을 퇴출시키면 된다. 민주주의는 외부에서 이식한다고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제도가 아니며 선언만 한다고 이루어지는 체제도 아니다. 전쟁의 참상과 극한의 빈곤, 독재를 거치며 민주주의를 일구어낸 한국의 이야기가 세계적으로 값진 것도 그렇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전광훈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를 위해서 광화문 광장에서의 외침이 문재인과 이재명의 종북 좌파를 물리친 공적은 하나님의 은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라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너희 전에 있던 선지자들을 이같이 핍박하였느니라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데 없어 다만 밖에 버리워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마 5:10-13 2023-03-14
    • G.OPINION
    • G.OPINION
    2023-03-14
  • 기독교의 진리
    아내를 너무 사랑한 한 남성이 이제 침대에서 깨어난 아내를 포옹하며 이렇게 말했다. “You are indeed three times a lady.”(당신은 세 번째도 나의 여인이오.) 이 장면을 지켜본 어린 아들은 나중에 뮤지션이 되어 팝 역사에 남은 명곡을 만들어 부른다. 그 꼬마는 마이클 잭슨과 경쟁했던 70~80년대의 수퍼 스타 라이오넬 리치다. 당신은 첫 번째도 두 번째도 세 번째도 나의 여인이라는 찬사. 여기서 3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영원의 시간이 된다. 자명 혹은 당연한 명제들을 거슬러 오르면, 대부분은 종교에 관련된 문헌에서 멈추게 된다. 그리고, 문맥상 자명이란 단어가 종교에서 진리(眞理, Truth)라는 단어와 일맥상통함을 알게 된다. ‘참된 이치’라는 뜻을 지닌 진리라는 단어는 종교에서 주로 사용된다. 사실(Fact), 가설(hypothesis), 법칙(Law), 이론(Theory) 종교의 주체가 되는 신의 존재와 신성력들을 의심할 여지 없는 진리로 이해되어야만 교리와 행동 강령들을 설득시키고 이행시킬 수 있는 당위성이 생긴다. 따라서, 하나의 종교 진리로 보면 진리는 절대적이며 누구에게나 보편타당해야만 한다. 그래서 절대적 진리라고 하면 역전앞과 같은 겹말 오류를 범하는 개념인 듯하다. 대부분의 진리는 절대 진리로 이해함에 크게 문제가 되진 않지만 가장 혼동스러웠고 현재도 이해할 수 없는 역사가 있다. 11세기에 200여 년간 치룬 기독교와 이슬람교 간의 전쟁인 십자군 전쟁이다. 전쟁의 주체인 두 종교는 인간은 신이 사랑하고 아끼는 존재로서 그 생명을 함부로 앗아가는 행위(살인)를 절대 진리로 금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전쟁에서의 생명 존중이란 진리는 지극히 상대적이었다. 전쟁에 참가한 군인인 본인 생명과 동일 종교를 가진 생명과 영토들을 지키기 위해서 상대 종교를 가진 생명이나 이념을 가차없이 배제했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즉, 내 편으로 간주되는 생명은 소중하지만 적이라 간주 되는 생명을 존중하지 않았다. 생명을 가지고도 자명함을 입증하기 어려운데 수많은 다른 자명한 명제들에 대한 보편타당함에 의구심이 많이 들 것이다. 하지만 의구심과는 별개로 절대적인 보편타당함은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음을 깨달을 수 있다. 도리어 시대적 상황이라든지 논리를 전개하는 사람들이 가정하고 있는 진리들을 참이라 가정할 수 있는 배경 혹은 조건, 상황 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상대적 진리라고 한다. 물론 모든 배경과 조건, 상황에 따른 진리가 성립될 수 없기는 하다. 다만 확실하고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만한 배경과 조건, 상황이 주장하고자 하는 진리에 부연 설명을 해준다면 보편타당성을 인정받아 믿어 의심치 않는 절대적 진리처럼 받아들여진다. 이런 발견들이 ‘자명하다’라거나 ‘당연하다’라 표현되며 과학 분야에서는 ‘사실(Fact)’, ‘가설(hypothesis)’, ‘법칙(Law)’, ‘이론(Theory)’으로 불린다. 비슷해 보이는 단어들의 차이점에 대해서 과학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사실 : 과학자들이 오랫동안 검증한 관찰하여 얻은 결과. _물체를 손에서 떨어뜨리면, 그 물체는 아래로 떨어진다. 2. 가설 : 관찰된 결과를 테스트할 수 있는 잠정적인 설명. _물체가 떨어지는 건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3. 법칙 : 자연계에서 작동하는 원리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수학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 것. _우주에 위치한 두 질량체는 두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질량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서로 끌어당기고 있다. F=G·m1·m2/r2 ) F: 힘, m1 & m2 : 질량, r : 거리, G : 만유인력상수 4. 이론 : 사실과 검증된 가설, 법칙으로 입증한 자연계의 특정 현상에 대한 설명. _질량과 에너지는 시공간에 왜곡을 일으키고 중력은 시공간의 왜곡에 의해 생긴다. 위의 모든 문장들이 일반적인 경우에는 아주 지극히 당연한 현상들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이지 않고 특수한 경우에는 진위 여부가 달라진다. 아주 쉬운 예로 사실의 예로 들었듯이 물체는 보통 공기보다 밀도가 높은 물체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간혹 놀이동산에서나 헬륨으로 채워진 풍선이 아이 손에서 떨어져 하늘 위로 날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체의 조건이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물체가 아닌 경우이다. 이와 같이 아래라는 전제도 일반적으로는 인간이 서 있는 상태 머리에서 발 방향을 아래라고 할 경우에나 옳지, 북에서 남쪽 방향을 아래라고 한다면 옳지 않은 상황이 된다. 따라서 위에 기재한 예들을 진리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공학적이거나 과학적인 관점에서 종교와 철학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라는 것이다. 과학계에서는 모든 것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음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별로 새로울 것이 없는 이야기이지만 일반적인 생활에서는 많이 다르긴 하다. 흔히 사용하는 ‘당연한 사실’을 얼마나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있는지 모든 것에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있는 공학 관점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교라는 관점에서 벗어난 기독교의 진리는 나는 길이요 생명이라고 말씀하시고 십자가 위에서 우리의 죄를 대속하고 죽고 사흘 만에 부활하고 승천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즉 자명한 이론이 아니라 믿음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 실제 사실(fact)과 실체(reality)인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의 진리는 종교개혁가 칼빈의 말같이 성경이 가는 데까지 가고 성경이 멈추는 데서 멈출 때 성령의 감동으로 자명하게 드러난다. 성경은 말씀한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너희가 나를 알았더라면 내 아버지도 알았으리로다 이제부터는 너희가 그를 알았고 또 보았느니라 빌립이 이르되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는 말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셔서 그의 일을 하시는 것이라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심을 믿으라 그렇지 못하겠거든 행하는 그 일로 말미암아 나를 믿으라 요 14:6-11 2023-03-14
    • G.OPINION
    • G.OPINION
    2023-03-14
  • 정신적 지도자
    13세기 페르시아 시인이며 이슬람 법학자인 루미의 대표작 ‘정신적 마스나비’ 1권에 이런 시가 있다. 배를 타고 있던 학자가 선원을 보며 말했다 “이제껏 공부를 해본 적이 있나요.” 뱃사람이 대답했다. “없습니다.” 그러자 학자가 말했다. “당신은 인생의 절반을 낭비했구려.” 뱃사람은 슬픔으로 마음이 아팠지만, 그 순간 대답을 할 수 없었다. 엄청난 강풍이 불어와 배가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뱃사람은 학자에게 큰소리로 외쳤다. “수영할 줄 아십니까?” 학자가 대답했다. “못 하오.” 그러자 뱃사람이 말했다. “당신은 인생의 절반을 낭비하셨군요. 지금 배가 가라앉고 있습니다.” -잘랄 아드딘 무하마드 루미(1207~1273) 가라앉고 있는 배에 탔는데 헤엄칠 줄 모른다. 그동안 읽은 그 많은 책이 무슨 소용이람. 방랑자 스승 샴스를 만난 뒤 교리 학습이나 율법보다는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며 영혼의 교류에 심취했다는 신비주의자 루미의 면모를 알 수 있는 산문시. 어떤 설교보다도 설득력 있는 뱃사람과의 짧은 대화를 통해 공부가 전부가 아니다, 교리에 얽매여 인생을 낭비하지 말라는 교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유년기에 몽골족의 침략을 우려한 부친에게 이끌려 서남아시아를 편력한 후 룸 셀주크의 도읍 코니아에 정주하였다. 부친이 사망한 후에 신비주의의 수업에 진력하여 한 파(派)를 창설하였다. 37세경부터 시를 짓기 시작하여 불후의 명작 《정신적 마스나비》를 완성하였다. 이 전 6권으로 된 방대한 신비주의 시집은 '페르시아어의 코란'이라고도 평가되며 그의 사상적 성전(聖典)이라 하겠다. 몇 가지의 비유·우화·전설의 형식으로 읊은 시로 외면상은 이야기 시와 같으나 그 배후에는 절대적인 신의 사랑과 그것을 구하는 인간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는 중세의 문학과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루미의 주요 활동 무대가 터키였다는 사실은 그의 이름에서 바로 알 수 있다. '루미'는 아랍어·페르시아어 이름의 구성 요소 중 니스바에 해당하며 그 인물의 출신지나 주요 활동지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빈치의 레오나르도)'에서의 '다 빈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루미'는 '룸의-'이라는 뜻인데, 여기서 '룸'은 '로마'를 뜻하는 단어로서 당대의 무슬림들은 동로마 제국이 점유하고 있던 아나톨리아를 '로마(인)의 땅'이라는 의미에서 '룸'이라고 불렀다. 결국 루미라는 그의 이름은 좀 더 의역하면 '아나톨리아의-'가 되는 셈이다. '비잔티움은 로마가 아니다'라는 시각은 교황이 내세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정통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서구 가톨릭 세력의 지극히 정치적인 의견이었을 뿐 이러한 교황의 권위에 얽매이지 않았던 제3 자 세력들(슬라브인과 페르시아·이슬람 세력)은 비잔티움을 '고대부터 이어져 온 로마 제국' 그 자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루미의 주요 활동 무대였던 '룸 술탄국'이라는 국호 역시 '로마의 땅 위에 세워진 술탄국'이라는 의미로서 당대의 무슬림들이 비잔티움 제국을 로마 제국으로 인식했음을 보여 주는 숱한 사례들 중 하나이다. 그의 시는 대체로 섬세한 서정시의 성격을 띄고 있었으며 인간과 사랑과 신의 합일이라는 종교적 사상을 노래했다. 이후 루미는 대표작인 6권 분량의 신비주의 시집 《정신적 마스나비》를 완성하였는데 이 작품은 아직도 불멸의 걸작으로 칭송받고 있으며 향후 중세 이슬람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종교를 초월한 신의 근본적 사랑 자체를 강조했던 그의 가르침 덕분에 수피즘 사상가와 이슬람교도 뿐 아니라 기독교도, 조로아스터교도, 유대교도 등으로부터 폭넓은 지지와 존경을 받았다. 상대를 객관적으로 정확히 아는 것은 나에게 득(得)이 된다. 상대를 부정확하게 아는 나라는 지형(地形)을 모르고 뛰어내리는 낙하산병(落下傘兵)과 같다. ‘과거를 기억하는 방식’은 국가의 성숙과 직결돼 있다. ‘기억의 감옥’에 갇히면 ‘기억의 포로(捕虜)’가 된다. 국력 격차가 좁혀지는 상황에서 협력하며 경쟁하는 한국과 일본은 징용공 문제로 다시 시험대에 섰다. 누가 성숙한 역사의식에 먼저 도달하느냐의 경쟁이다. 대한민국이 이번만은 일본을 반드시 누르기를 기도한다. 총회는 소강석과 배광식의 무질서를 넘어 총회 불꽃 권순웅 총회장을 이어 하나님의 은혜로 김종혁 목사와 장봉생 목사로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에서 무질서만큼 두려운 게 없다. 무질서가 휩쓸고 간 땅에 희망의 싹은 돋지 않는다. 대부분 괴물(怪物)이 태어난다. 무질서는 약한 사람을 더 힘들게 하고 어려운 사람을 더 어렵게 만든다. 무질서가 낳은 괴물들은 무질서에 지치고 시달린 약하고 힘든 사람들의 절망을 양식(糧食) 삼아 몸을 부풀린다. 히틀러·마오쩌둥·스탈린이 그런 경로를 밟았다. 그들은 전쟁 중에 또는 전쟁 후 적군(敵軍) 숫자보다 많은 자기 국민을 살해했다. 배광식 같은 작은 독재자들도 마찬가지다. 무질서와 혼돈(混沌)의 자식인 독재자들은 국민의 귀와 입을 막고 ‘새로운 질서’라고 우긴다. 혁명 귀족, 노동 귀족들은 약한 사람, 어려운 사람 위에 멍석을 깔고 저희들끼리 권력과 이익을 분배하는 독식(獨食) 잔치를 벌인다. 이것이 혁명의 타락 과정이고 촛불 이후 우리 국민이 목격하고 결혼할 필요성도 못 느낀 김영우 이후 우리 총회와 총신이 체험한 진실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창 1:1-3 2023-03-13
    • G.OPINION
    • G.OPINION
    2023-03-12
  • 종교개혁 운동 교육 선진화
    꽃을 기다린다. 저 멀리서 들리는 꽃 소식 말고, 마른 가지를 거짓말처럼 뒤덮어서 어느 날 문득 마음을 콩콩 두드리며 눈부신 아침을 만들어 줄 기쁜 소식 꽃을 기다린다. 곧 지고 말 잠깐의 찬란한 시간을 기다린다. 초록보다 오래지 않아서 더 애틋할 설렘을 기다린다. 꽃이 아니라면 무엇이 시절을 그토록 빛나게 할 수 있을까. 바람이 어디로부터 불어와 어디로 불려가는 것일까, 바람이 부는데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다.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을까. 단 한 여자를 사랑한 일도 없다. 시대를 슬퍼한 일도 없다. 바람이 자꾸 부는데 내 발이 믿음의 반석 위에 섰다. 강물이 자꾸 흐르는데 내 발이 소망의 언덕 위에 섰다. 믿음은 죽어서 믿음 속으로 가고 소망도 죽어 소망 속으로 간다. 그렇다, 죽어 사랑은 사랑의 부활 속으로 가고 우리도 죽어서 우리 고향 하늘 속으로 가야만 한다. 종교개혁 시발은 1517년 10월 31일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당시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 정치와 서방교회의 면죄부 판매, 연옥에 대한 교황권 주장, 그리고 공로 사상을 비판한 내용의 95개 조 반박문을 발표하는 사건이다. 이미 교회 개혁은 중세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의 영향을 받았다. 인문주의자들의 방법을 통하여 성경을 원문으로 해석하고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을 강조함으로써 복음의 기록, 성경의 권위를 16세기 서방교회의 모든 제도인 교황과 교회 직제, 교회전통보다 더 높은 권위에 두었다. 따라서 종교개혁이 불러온 교육 효과는 성경을 직접 읽고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을 중시한 덕분에 문해력이 향상돼 두꺼운 인적 자본이 구축됐다는 얘기가 있다. 읽고 쓰는 법을 배운 개신교인들은 더 많은 돈을 버는 일자리를 얻어 부를 쌓았다는 것이다. 경제 성장을 이끈 결정적 요인은 종교개혁 그 자체가 아니라 종교개혁이 불러온 교육 선진화 덕이라는 분석이다. 그래서 18세기 서구 유럽의 산업화를 이끈 건 어쩌면 편지였을지도 모른다. 프랑스 철학자 볼테르(1694∼1778)는 1755년부터 21년 동안 파리에서 멀리 떨어진 영국과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에 사는 지식인들과 1만 통이 넘는 편지를 주고받았다. 최근 사회과학자들은 혁신을 보상하고 장려하는 문화가 서신 교환을 통해 싹텄다고 분석한다. 의회제의 정착, 교통망 발전, 증기기관의 발명 등 이 같은 혁신들이 비슷한 시기 한꺼번에 서구에서 이뤄질 수 있었던 건 곳곳에 흩어져 있던 천재적인 발상을 나누는 편지의 힘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진리를 서신으로 전해 교회가 서게 했다. 바울은 자신의 영적 아들인 디모데에게 보내는 마지막 서신에서 복음을 굳게 붙잡고 사역에 충실 하라고 당부했다. 그리고 굳게 서서 말씀을 전하라고 명령했다. 디모데는 우유부단했고 무기력했으며 크게 낙심한 상태였다. 많은 사람이 믿음을 저버리고 그를 외면했다. 따라서 바울은 교회 안에서 벌어지는 잘못과 죄의 결과를 언급한 뒤 디모데에게 굳세게 견디라고 권고했다. 성경은 말씀한다. 무릇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자는 핍박을 받으리라 악한 사람들과 속이는 자들은 더욱 악하여져서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하나니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또 네가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네가 뉘게서 배운 것을 알며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려 함이니라 딤후 3:12-17 2023-03-12
    • G.OPINION
    • G.OPINION
    2023-03-12
  • 전광훈의 이승만 정신
    2023년 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에 대한 무기명 투표를 실시한 결과 재석 297명 중 찬성 139명, 반대 138명, 기권 9명, 무효 11명으로 부결됐다. 체포동의안은 재석 의원 중 과반인 149명이 찬성해야 가결된다. 이에 대해 홍준표 시장은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과반수에 못 미쳐 부결은 됐지만 민주당에서만 이탈표가 31표나 나와 찬성표가 1표가 더 많은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라며 “그런데 아직도 수사 중인 사건이 많은데 이번 사건을 검찰이 일단 불구속 기소를 하면 민주당 당헌(기소되면 당직 사퇴)에 따라 당 대표 사퇴 논쟁은 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종북 운동권이 좌파를 장악했던 시대는 이제 끝나야 한다. 대안 없는 통일과 굴욕적 평화론은 이제 볼 만큼 봐왔다. 결과는 북한의 전쟁력 강화에 이바지했을 뿐이다. 5~6건의 범법 수사를 받고 있는 이재명 씨를 당 대표로 뽑은 운동권 정당은 이제 한계에 왔다. 4.19는 1948년 제헌 헌법의 정신을 어긴 부정부패와 부정선거에 대한 항거였지 대한민국을 뒤엎고 헌법 이념과 주권자를 교체하자는 혁명이 아니었다. 더욱이 이승만 대통령은 4.19에 봉기한 학생들을 병원으로 방문하며 칭찬하고 지식인들의 요구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조용히 물러난 지도자였다. 게다가 좌파 독재에 항거하고 막은 전광훈 목사가 이어받고자 하는 이승만 대통령의 정신은 4.19에 봉기한 학생들에게 맞선 독재자가 아님을 알리는 광고를 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친절한 안내를 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문재인의 종북좌파 독재를 막은 '광장의 소리' 전광훈 목사는 자유민주주의에 근거해 이승만 정신을 이렇게 정의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건국할 때 4대 정신으로 건국했으며 그것은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 경제, 한미동맹, 기독교 입국론이다. 이승만의 반공주의를 계승하여야 하나님의 나라를 지킬 수 있다." 한국의 정치가 지금껏 자리를 잡지 못하고 파국을 헤맨 데는 남쪽의 여야 대립을 넘어 북한의 이념적 대리(代理) 전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70여 년 한쪽엔 미국과 동맹을 기조로 자유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세력, 다른 쪽엔 북한의 공산주의와 주체사상이 결합한 김일성주의를 추종하는 세력이 목숨을 걸고 싸워왔다. 6·25 전쟁이 그중의 하나다. 숱한 정치적 테러와 정변 숙청도 그 결과다. 한국이 그 와중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이라는 자유민주주의의 고리를 연결로 세계로 나간 덕분이다. 우리가 그런 환경에서 경제를 일구고 세계 여러 나라와 연대해 국제적으로 설 자리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결국 대한민국을 살린 것은 경제적 부흥이었고 이 경제적 부흥은 좌파도 먹여 살렸다. 그러므로 민주당이 친북·종북·운동권의 아지트가 아닌 김대중과 노무현 대통령이 추구한 진보·좌파·사회주의 본연의 기지(基地)로 돌아와서 좌·우의 건전한 대결과 대안(代案)의 정치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세계는 변화하고 있다. 이제 무력(武力)으로 남의 땅을 먹으려는 제국주의적 사고는 설 자리가 없다. 러시아의 푸틴은 우크라이나 전쟁 결과에 상관없이 파멸할 것이다. 전 세계가 우크라이나에 동조하는 이유다. 성경은 말씀한다.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마 6:33 2023-02-28
    • G.OPINION
    • G.OPINION
    2023-02-2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