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0(월)
 

김영배의 더굳뉴스쇼2-web.jpg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나도 한때 총신대를 나왔지만 선후배 개념이 없는 송삼용이나 감신 출신 최장일처럼 소강석에게 그런 적이 있다. 그러나 칭찬의 역설이 있다. 칭찬만 계속하면 칭찬의 가치가 하락한다. 칭찬만 일삼는 이의 칭찬이 비판을 주로 하는 이의 칭찬과 같은 무게일 리 없다. 계속 칭찬만 하는 사람은 결국 어느 것도 제대로 칭찬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고 만다. 게다가 총회와 교계를 오염시킨 길자연을 넘어 맨돈으로 교단과 교계와 총신을 타락시킨 소강석에 이르면 입과 지갑이 다물어지질 않는다.


중국의 대표적인 편년체 역사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쓴 송나라 정치가이자 대학자 사마광(司馬光, 1019년~1086년)은 중국 북송의 유학자, 역사가, 정치가이다. 그는 자치통감 서두에서 사람을 네 가지로 나눠 풀이하고 있다. 이는 고스란히 그가 역사 속 인물들을 평가하는 일관된 잣대였다는 점에서 오늘날 소강석과 그의 수행원 고영기가 설치는 우리 총회에도 상당한 유효성을 갖는다. 그는 덕[德]과 재주[才]의 유무(有無)를 들어 네 가지 유형을 추출 해냈다. 먼저 그는 덕과 재주를 이렇게 풀이한다.


“무릇 귀 밝고 일을 잘 살피며 강한 것을 일러 재주라 하고 바르고 곧으며 도리에 적중해 조화를 이루어내는 것을 일러 덕이라고 한다. 재주란 덕의 밑천이요, 덕은 재주의 통솔자다.”


그래서 재주는 덕을 통해 다듬어질 때라야 세상을 위해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지 못하면 길자연이 부렸고 이후 소강석이 부리는 고영기처럼 재가 승하고 덕이 박하다(才勝薄德) 하여 세상 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받게 된다. 이어 그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제시한다.


재주와 덕을 함께 갖춘 이를 일러 빼어난 사람이라 하고 재주와 덕이 모두 없는 사람을 어리석은 사람이라 하며 덕이 재주를 뛰어넘는 사람을 군자라 하고 재주가 덕을 뛰어넘는 사람을 소인이라 한다[才德兼全謂之聖人 才德兼亡謂之愚人 德勝才謂之君子 才勝德謂之小人].”


그의 인물론의 독특함은 고영기나 문재인처럼 재도 없고 덕도 없는 어리석은 사람보다 이재명처럼 재가 덕보다 높은 소인을 더 경계한 점이다. 사마광은 문재인을 괴롭히면 물겠다는 탁현민에게 입마개를 해야 한다는 진중권 교수처럼 말한다. 


“군자란 재주를 가지고 좋은 일을 하고, 소인은 재주를 가지고 나쁜 일을 한다. 재주를 가지고 좋은 일을 하는 사람은 좋은 일이 이르지 않는 곳이 없고, 재주를 가지고 나쁜 일을 하는 사람은 나쁜 일이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어리석은 이는 설사 나쁜 일을 하려 해도 그 지혜가 두루 살필 수가 없고 힘도 감당할 수가 없다.”


최근 손석희와 나눈 회견을 보면 소인과 어리석은 이 사이 어디쯤에 머물렀던 문재인이 잊히고 싶다고 하고 탁현민은 문재인을 누가 씹든지 물겠다고 하지만 어쨌든 그 좋은 자리에서 둘 다 곧 물러난다. 맨돈 소강석은 어디쯤에 있는 사람일까? 아직은 모르겠다. 맨돈이 재주보다 승하고 재주가 믿음보다 승하다는 것 말고는...


독일의 법률가, 정치가, 정치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로, 사회학 성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며 그의 논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으로 유명한 막스 베버(Max Weber, 1864년 4월 21일~1920년 6월 14일)가 신념 윤리와 책임 윤리를 구분한 것은 성직자 평가와 정치인 평가에는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맨돈 소강석과 다른 믿음이 재보다 승한 맨믿음 오정호 같은 사람을 위해 성경은 말씀한다.


이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공급하라 벧후 1:5-7


2022-04-28

태그

전체댓글 0

  • 7697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강석과 오정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