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굳뉴스] 2025년 흘러가는 것
1963년 강원도 사천에서 출생, 강원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89년 『문예중앙』 신인상에 당선되어 시단에 등단한 시인 박용하의 ‘동해안 포구를 위하여’에서 한 구절을 빌려 말하자면, ‘흘러간 것은 물이 아니라 흘러간 물’이다. 우리는 우리가 변화시킨 세계에 의해 이만큼 흘러왔다. 흘러간 물은 돌이킬 수 없을지 모르지만 여전히 물은 흐르고, 흘러야만 한다. 흐르지 못하면 썩는다. 그것이야말로 우습지조차 않은, 지독한 일이다. 통렬하고 질박한 언어로 날 것의 일상을 한 줄로 새기는 시인 박용하가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쓴 5년 치 일기를 엮은 책 ‘시인일기’를 냈다.
“일기는 지금의 미래다. 살았지만 다시 살게 될 미래. 나는 타인이 되었다가 다시 타인이 되어 돌아온다.”(‘2014년 7월 25일 일기’ 중)
2025년 1월 25일 햇수로 12년 전인 2013년 더굳뉴스를 창간하고 제98회 수원 라비돌 총회 현장에 빌린 카메라를 들고 처음 발을 디뎠다.
그렇듯 요즘 나훈아까지 손가락으로 들썩이는 좌우 이데올로기조차 반박되거나 패배하는 것이 아니라 추레해지고, 무시되고, 따분하고 지겨운 것이 되고, 그래서 시들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하나님의 뜻을 잊었거나 잃어버린 세대들...
시인 박용하는 산맥 동쪽의 바다 앞에서 “떠났고 도주했고 망가졌고 찢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나 창세기일 것만 같은 바닷가에서 유한을 탐하듯 그대를 원했다”고 말한다. 끼니만큼 가까이 있었던 슬픔 앞에서 바다는 지상의 모든 물을 다 받아주는 장소였던 셈이다. 폭설의 밤은 도처에서 ‘우지끈’ 거렸다고 한다.
글로만 보던 역사의 무게란 것이 이런 것인가 하는 생각도 한다. 하나님 앞에서 두려운 느낌이 든다. 일제강점기 시인 윤동주(1917~1945)는 일본에 유학하여 공부하다가 귀향을 앞둔 시점에 항일운동 혐의로 1943년 7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복역 중 1945년 2월에 옥사한다. 그의 유해는 고향 북간도의 용정(龍井)에 묻혔다.
주기철(1897년~1944) 목사는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고 반대운동을 하여 일제로부터 10년형을 선고받아 복역 중 순교했다. 자기 희생을 통한 신앙실천을 강조하는 일사각오(一死覺悟) 설교로 기독교 신앙실천과 배일사상 그리고 독립정신을 고취하면서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했다. 복역 중 고문으로 인한 건강 악화로 48세에 순교했다. 겨울의 감방 온도는 보통 영하 20도 정도였다. 지금 시대를 사는 우리는 당시 이들에게 어떤 믿음과 용기가 필요했는지 알기 어렵다. 책상 앞에 앉으며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그저 부끄러울 따름이다.
기독교 교계는 물론 우리 교단에서도 아주 약한 '더굳뉴스'라는 기독교 언론이 13년째를 맞는 날 기자로서 교단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를 생각한다. 교단 언론이 멋진 글을 써야 하는 것도 아니고 교인을 모으는 설교문을 써야 하는 것도 아니다. 총대들을 솔깃하게 하는 소문을 써야 하는 것도 아니고 총대들이 반기고 좋아할 내용만 써야 하는 것도 아니다. 총회 실세의 마음에 드는 글을 써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그 자체가 목적도 아니다. 필자가 13년간 쫓아다닌 것, 지금도 혼자 매일 찾으러 다니는 것, 아무리 노력해도 찾기 힘든 것, 찾아냈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아닌 것, 왜 찾아다니느냐고 손가락질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렇게 어렵게 찾았더니 믿음과 전혀 다른 것이기도 하다. 찾아내 보니 고약한 자를 분노케 해 고소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어떤 집단이나 세력의 증오를 사는 것, 때로는 총대의 요구와 다른 것, 어떤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기까지 하지만 그것은 사실(事實·fact)이라는 것이다. 더굳뉴스의 13년은 한 줄로 줄여 말하면 믿음에 근거한 사실을 찾다가 성공하거나 실패한 기록이다. 한 줄만 덧붙이자면 그러다 박수받기도 하고 비난당하기도 한 기록이다.
대부분의 사실은 숨겨져 있다. 몇 겹 껍질 아래에 숨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필자의 기자 생활 전부는 이 껍질을 벗기는 일이었다. 성공도 있었다. 하지만 못 찾아낸 것, 잘못 찾은 것이 더 많았다고 고백한다. 때로는 납골당 같이 백일하에 드러나지만 곁길로 흐르는 사실도 있다. 누구나 보고 있다. 그런데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믿음에서 벗어나거나 믿음을 왜곡하는 권력의 위압 때문일 수도 있고 진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행태는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언론은 이때 말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결코 쉽지는 않다. 글로써 가장 어렵고 힘든 일은 사실로 위장한 것들과 벌이는 싸움이다. 위장 사실, 가짜 사실은 인터넷을 타고 커다란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광우병 괴담, 천안함 괴담, 사드 전자파 괴담, 수돗물 괴담, 미네르바 괴담(2008년에 미네르바라는 필명으로 인터넷 논객으로 활동한 '박대성'과 그에 관계된 여러 사건을 가리키는 말), 대부분 그 뒤에는 정치 세력이 있다. 언론이 괴담을 만들기도 하고 규모가 커지면 다른 언론들이 편승하기도 한다.
그런 일들로 세상은 성경이 지적하는 진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많은 경우 사실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화나게도 한다. 이익을 챙긴 자에게 좋으면 사실이고 아니면 거짓이라고 한다. 돈을 사랑하는 자가 솔깃해하는 사실은 허구인 경우가 더 많다. 정말 목말라하는 정치인이 하나도 없다고 할지라도 진실을 추구하는 성경적 사실은 그러나 결국 교회뿐만 아니라 세상 역사도 움직인다. 진리를 알면 그 진리가 우리를 자유하게 한다는 사실과 다른 길을 가는 무뢰배가 맞을 결과는 명백하다. 사실 정의란 전투에서 패할 수는 있어도 전쟁에서 지는 법은 없다. 어둠이 빛을 덮을 수 없고 마귀의 거짓이 하나님의 진실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모두가 반기지 않아도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이 사실을 찾는 일은 힘들지만 보상도 없다. 그래서 언론이 없으면 사실도 없다. 그것은 내가 사랑하고 자랑스러워하는 대한민국과 총회를 위한 나의 사명(使命)이자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른 소명(召命)이기도 할 것이다. 필자의 더굳뉴스에 대한 소망은 사실은 사실일 것이라고 총회 총대와 소수라도 독자들이 믿는 언론이고자 한다. 물론 지금은 못 미친다. 하지만 그 목표를 향해 1㎝씩이라도 하나님과 함께 믿음으로 나아가려 한다.
마라톤의 40㎞ 지점을 선수들이 저력을 발휘해야 할 승부처라고 할 때 세상의 저력은 막판에 발휘하는 뒷심 뚝심의 의미지만 하나님이 주시는 믿음의 저력은 세상이 감당할 수 없는 진짜 힘이라는 의미이다. 평소 갈고닦은 힘, 꼭 필요할 때 발휘되는 힘, 쉽게 얻어지지 않지만 결코 없어지지 않는 본연의 힘이라는 말이다. 사슬의 강도는 가장 약한 고리만큼만 강하다는 격언이 있다. 마찬가지로 개인이건 집단이건 결정적 순간에 발휘하는 힘만큼만 힘이 있다고 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하나님이 주시는 믿음의 근본 힘이 총회와 총대의 저력이며 위기의 순간에 그 저력을 극대화하는 능력이 총회 지도자의 자격이자 책무이다. 2013년 창간해 13년째 되는 2025년에 하나님 앞에서 드리는 기도 제목이다. 그러기 위해 늘 이 말씀을 되뇐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살전 5:16-18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