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7(화)
 
김영배-웹.jpg
 

설교를 하는 목사라면 설교를 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소설이나 시나리오에서 독자나 관객의 호기심과 기대감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짜임새 있는 플롯이 작품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러나 설교 준비 과정을 플롯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일이란 아주 생소한 일이다. 특히 문학의 한 기법인 플롯을 설교에 자유롭게 구사하게 되기까지 도움을 받을 만한 마땅한 책이 없기 때문이다. 설교 역시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을 깨우치려는 회중의 호기심과 기대감을 일으킬 수 있는 플롯을 상당히 필요로 하는 데도 말이다. 
 
플롯이란 말은 한 조각의 땅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나왔다. 더 정확히는 설계도나 평면도 등을 가리키는 낱말의 용법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예컨대 설계도에는 건물과 부속 건물과 통로와 주차장 등의 배치가 설계되어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소설이나 시나리오의 작품 속에 들어 있는 사건의 배열이 곧 플롯이라고 할 수 있다. 

플롯은 사건과 사건을 결합시킴으로써 원인과 결과를 생성해낸다. 한 사건의 결과는 또 다른 사건을 발생시킨다. 이야기는 플롯을 지녀야만 결말에 도달한다. 즉 사건이 일어나게 해주는 장치가 바로 플롯이다. 회중은 이 과정을 통해 설교에 흥미를 갖는다. 그러면 좋은 플롯의 설교란 과연 무엇인가?

설교의 도입에 일어난 사건이 회중의 궁금증을 유발해 질문을 던지게 하고 클라이맥스를 거친 후 결말에 이르러 하나님 뜻이 답으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 좋은 플롯의 설교일 것이다. 

햄릿의 막이 오르면 관객은 얼마 지나지 않아 과연 햄릿은 아버지의 복수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드라마는 바로 이 물음에 대한 여러 인물들의 행동을 보여준다. 클라이맥스가 지나고 나면 관객은 복수를 하지만 햄릿도 죽는구나 라는 답을 얻게 된다. 이것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시작, 중간, 마지막의 올바른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설교의 준비와 구성에 적용해 보려고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설교는 선지자나 성직자의 연설이다. 설교는 성경과 신학과 도덕의 주제를 전한다. 설교는 주로 성경의 본문 안에서 신앙과 율법과 행동의 의미를 해설한다. 설교의 요소는 해석과 권면과 실제 적용을 포함한다.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느 날 한 아주머니가 장을 보고 돌아와 보니 집에서 기르는 진돗개가 목에 뭔가 걸려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있었다. 그녀가 개를 동물병원에 맞기고 집에 돌아오자마자 전화벨이 울렸다. 조금 전 다녀온 동물병원의 수의사였다. 그는 소리를 지르며 말했다.
“당장 집 밖으로 나가세요!”
“무슨 일이에요?”
그녀가 깜짝 놀라 물었다.
“”제 말대로 하시고 당장 옆집에 가 계세요. 곧 갈게요.“
수의사는 아주머니의 질문에는 대답을 않고 그렇게 말했다. 그녀는 무슨 일인지 놀랍고 궁금했지만 수의사가 시키는 대로 이웃집으로 갔다. 그런데 그녀가 밖으로 나가자마자 경찰차 4대가 달려와 급브레이크를 밟으며 집 앞에 섰다. 경찰들이 권총을 뽑아들고 차에서 내리더니 집 안으로 달려 들어갔다. 그녀는 겁에 질린 채 밖으로 나와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바라보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곧 수의사가 도착해 상황을 설명했다. 그가 진돗개의 목구멍을 검사해보니 거기에 사람 손가락 두 개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아마도 그 개가 도둑을 놀라게 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아니나 다를까 경찰은 곧 피 흘리는 손을 움켜쥐고 공포에 질린 채 옷장에 숨어 있던 도둑을 잡아냈다.

숨이 막힌 진돗개 이야기는 플롯의 순수한 표본이다. 장소와 시간을 설명해주는 주어진 환경과 인물묘사는 플롯보다 뒷전으로 밀려 있고 이야기는 세 부분으로 나누인다. 첫째 장면은 극적인 사건과 미스터리로 시작된다. 여자가 집에 돌아와서 진돗개가 숨이 막혀 있는 것을 발견할 때다. 여자는 개를 수의사에게 데리고 간다. 

둘째 장면은 여자가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전화벨이 울리면서 시작된다. 몹시 흥분한 수의사가 여자에게 집밖으로 나가라고 수리칠 때부터 위험의 요소가 느껴진다. 이야기를 듣는 이들은 직감적으로 숨이 막힌 진돗개의 미스터리가 그 위험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모두들 추측해본다. 아주머니는 집 밖으로 나오면서 동시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위험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셋째 장면은 경찰의 도착으로 시작된다. 경찰이 급하게 도착함으로서 상황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의사가 도착한다. 수의사는 미스터리의 실체를 가장 먼저 확인한 사람이다. 경찰은 도둑을 잡음으로써 개의 목구멍에서 발견된 손가락의 임자를 찾아낸다.

아무도 이 이야기가 날조된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숨이 막힌 진돗개라는 그럴싸한 사건의 단서로 시작되며, 수의사의 전화를 통해 사건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피 흘리는 도둑의 소름끼치는 클라이맥스가 있기 때문이다. 구성은 이야기가 제공하는 기대감을 충족시키며 발전한다. 시작, 중간, 마지막이라는 플롯의 세 대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아주머니라는 주인공과 도둑이라는 적대자가 등장하여 긴장과 갈등의 요소도 있다.
 
이와 같이 설교의 구성에도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창한 플롯의 세 대목 시작, 중간, 마지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인공과 적대자가 있어 긴장과 갈등을 증폭시켜야 한다. 
좋은 설교는 플롯과 등장인물을 통해 탄생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회중은 그 설교에 빨려들 것이다.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축복이 성령의 감동으로 그 설교에 더해지게 될 것이다.

2013-11-25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설교의 기술 - 김영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