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5(화)
 

1) 어떤 행인이 그 부자에게 오매 부자가 자기에게 온 행인을 위하여 자기의 양과 소를 아껴 잡지 아니하고 가난한 사람의 양 새끼를 빼앗아다가 자기에게 온 사람을 위하여 잡았나이다 하니 다윗이 그 사람으로 말미암아 노하여 나단에게 이르되 여호와의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이 일을 행한 그 사람은 마땅히 죽을 자라

삼하 12:4-5

………

2)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둑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둑질 하였나이까 하는 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봉헌물이라 

말 3:8

 ………

3) 도둑질하는 자는 다시 도둑질 하지 말고 돌이켜 가난한 자에게 구제할 수 있도록 자기 손으로 수고하여 선한 일을 하라 

엡 4:28


유대교 신비주의자 주시아 랍비가 이런 말을 했다.


도둑에게서도 다음의 일곱 가지를 배울 수 있다.

첫째, 그는 밤늦게까지 일을 한다.

둘째, 그는 자신이 목표한 일을 하룻밤에 끝내지 못하면 다음날 밤에 또다시 도전한다.

셋째, 그는 함께 일하는 동료의 모든 행동을 자기 자신의 일처럼 느낀다. 

넷째, 그는 적은 소득에도 목숨을 건다.

다섯째, 그는 아주 값진 물건도 집착하지 않고 몇 푼의 돈과 바꿀 줄 안다.

여섯째, 그는 시련과 위기를 견뎌낸다. 그런 것은 그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일곱째, 그는 자신이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며 자기가 지금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가를 잘 안다.


승리와 명예는 늘 상대보다 더 끈질기고 위의 일곱 가지 특성을 아는 도둑과 같은 사람에게 돌아가게 마련이다. 전화를 발명한 세 사람 가운데 최종적인 승리를 거머쥔 사람은 세 사람 중 가장 비양심적인 인물이었다.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은 1872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처음에는 발성기관 생리학을 연구하고 농아학교 교사들을 가르치는 전문가로 일했다. 그러던 그가 1876년 2월 14일 전화기에 대한 특허를 신청해서 3주 뒤 특허를 받았다. 독일의 물리교사 필리프 라이스(Philipp Reis)가 1861년에 고안한 전화기가 아직 특허를 받을 만큼 제대로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벨의 특허권 획득은 정당했다. 라이스의 전화기는 코맹맹이 소리에다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탈리아계 미국인 안토니오 메우치(Antonio Meucci)가 발명한 전화기는 문제가 다르다. 벨은 메우치의 실험실에서 함께 일하면서 제대로 작동하는 전화기를 처음 보았다. 그리고 메우치는 그 전화기로 벌써 1871년에 특허를 따놓은 상태였다. 그러나 메우치의 특허권은 1874년에 효력이 정지되었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메우치는 자신의 발명품에 관심을 기울일 여력이 없었다. 1876년 벨이 특허를 따내자 메우치는 벨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그러나 그 사이 급작스럽게 유명해진 벨이 고용한 유능한 변호사들과 가난하고 보잘 것 없는 한 남자 사이의 소송은 한없이 이어졌다. 1896년 메우치가 한이 맺혀 숨을 거둘 때까지도 판결이 나지 않았다. 

벨이 속이고 기술을 훔친 사람이 또 있었다. 그 사람은 오하이오 주 출신의 전기공학과 교수 엘리사 그레이(Elisha Gray, 1835-1901)였다. 그레이는 우선 운이 지독하게 없는 사람이었다. 그가 특허신청서를 들고 특허청에 도착해보니 벌써 두 시간 전에 벨이 특허 신청을 하고 갔다는 것이다. 이 두 시간이 두 사람의 운명을 갈라놓았다. 그걸 갖고 벨을 탓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런데 특허장이 발부된 지 사흘 만에 열린 처음 열린 전화기 시연회에서 벨의 전화기가 그레이의 기술을 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마이크로폰과 금속진동판이 그레이의 특허신청서에 명시된 기술방식이었다. 이것이 벨의 고유한 기술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과학역사가들 사이에선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벨이 특허를 취득한 전화기의 절반은 그레이가 만든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번에는 그레이가 벨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이와 관련된 소송이 무려 100건이 넘었다. 미국 대법원은 그레이의 소송을 모두 기각했다. 그러나 벨에게는 무척 불명예스러운 일이었다. 최종 판결에서는 승리를 얻었지만 대법원 판사들의 의견은 정확히 찬반 동수로 엇갈렸다. 어쨌든 벨은 두 번의 부정을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부와 명성을 한꺼번에 얻었다. 1922년 벨이 숨을 거두자 미국의 전화국들은 1,400만 전화회선을 1분간 정지시키고 그의 죽음을 기렸다. 반면에 그레이는 백과사전 한 귀퉁이에 이름만 올라 있고, 메우치는 그 이름마저 잊혀졌다.

 

아버지가 없어서 추위에 떨며 굶주리고 있는 일곱 조카들을 위해 빵 한 덩이를 훔친 죄로 체포된 “레미제라블”의 주인공 장발장은 19년 감옥생활을 했다. 도둑질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인류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도덕 표준이다. 


그러나 성경만이 도둑질하는 것이 왜 나쁜지를 분명하게 밝혀준다. 모든 사람이 제 각각 정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나눠주신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한다.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약 1:17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것을 훔치는 것은 하나님에게 죄를 범하는 것이다. 물론 도둑질은 다른 사람에게 죄를 범하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 훔친 것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다윗의 가슴 여미는 고백이 이러한 생각을 잘 드러내고 있다. 다윗은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의 명예와 정절을 훔치고 그녀의 남편의 생명까지 뺏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렇게 고백한다. 


내가 주께만 범죄하여 주의 목전에 악을 행하였사오니  시 51:4

 

우리가 장발장처럼 빵을 훔치지 않거나 다윗처럼 다른 사람의 부인을 빼앗지 않았다고 해서 제팔 계명을 어기지 않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레이엄 벨의 경우처럼 우리도 훔치는 방법과 대상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그것은 돈, 시간, 명예, 재능, 또는 하나님의 것이 될 수도 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했다고 비난하시고 어리둥절한 그들에게 그것이 무엇인지 가르쳐주신다.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둑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둑질 하였나이까 하는 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봉헌물이라  말 3:8


하나님에게 응당 바쳐야 할 헌금이나 예배나 전도를 태만히 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 된다. 우리가 직장에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하지 않고 빈둥거린다면 그것도 고용주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다. 남에게 돈을 빌려 잘못 쓰거나 제때 갚지 않는 것도 남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생계유지에도 힘이 모자라 허덕거리고 있는데 자신은 사치에만 몰두하고 있다면 이것도 자신의 것을 자신이 도적질하고 있는 것이다. 제팔 계명을 가장 잘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예수님이 산상수훈에서 가르쳐주신다.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  마 7:12


이 가르침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바는 물질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을 다 같이 말씀한다. 이 가르침은 궁핍하고 어려운 사람에게는 물질로 도움을 주어야 하고, 슬픔이나 좌절을 겪는 사람에게는 위로와 격려로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의 실례를 주님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가르쳐주신다. 


내가 주릴 때에 너희가 먹을 것을 주었고 목마를 때에 마시게 하였고 나그네 되었을 때에 영접하였고 헐벗었을 때에 옷을 입혔고 병들었을 때에 돌보았고 옥에 갇혔을 때에 와서 보았느니라 이에 의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우리가 어느 때에 주께서 주리신 것을 보고 음식을 대접하였으며 목마르신 것을 보고 마시게 하였나이까 어느 때에 나그네 되신 것을 보고 영접하였으며 헐벗으신 것을 보고 옷 입혔나이까 어느 때에 병드신 것이나 옥에 갇히신 것을 보고 가서 뵈었나이까 하리니 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하시고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영한 불에 들어가라 내가 주릴 때에 너희가 먹을 것을 주지 아니하였고 목마를 때에 마시게 하지 아니하였고 나그네 되었을 때에 영접하지 아니하였고 헐벗었을 때에 옷 입히지 아니하였고 병들었을 때와 옥에 갇혔을 때에 돌보지 아니 하였느니라 하시니 그들도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우리가 어느 때에 주께서 주리신 것이나 목마르신 것이나 나그네 되신 것이나 헐벗으신 것이나 병드신 것이나 옥에 갇히신 것을 보고 공양하지 아니 하더이까 이에 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하지 아니한 것이 곧 내게 하지 아니한 것이니라 하시리니 그들은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   마 25:35-46



【핵심개념정리】


1) 도둑질은 왜 나쁜가?

모든 사람이 제 각각 정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나눠주신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한다.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약 1:17).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것을 훔치는 것은 하나님에게 죄를 범하는 것이다. 물론 도둑질은 다른 사람에게 죄를 범하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 훔친 것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2) 도둑질은 어떻게 다양한가?

하나님에게 응당 바쳐야 할 헌금이나 예배나 전도를 태만히 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 된다. 우리가 직장에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하지 않고 빈둥거린다면 그것도 고용주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다. 남에게 돈을 빌려 잘못 쓰거나 제때 갚지 않는 것도 남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생계유지에도 힘이 모자라 허덕거리고 있는데 자신은 사치에만 몰두하고 있다면 이것도 자신의 것을 자신이 도적질하고 있는 것이다. 


3) 제팔 계명을 가장 잘 지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제팔 계명을 가장 잘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예수님이 산상수훈에서 가르쳐주신다.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마 7:12).

이 가르침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바는 물질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을 다 같이 말씀한다는 것이다. 이 가르침은 궁핍하고 어려운 사람에게는 물질로 도움을 주어야 하고, 슬픔이나 좌절을 겪는 사람에게는 위로와 격려로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3-10-25

 

소요리문답표1-290.jpg

태그

전체댓글 0

  • 5053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영배의 소요리문답_ 제팔 계명 "도둑질하지 말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