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면 그 사람의 피도 흘릴 것이니 이는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지으셨음이니라
†창 9:6
………
2) 옛 사람에게 말한 바 살인치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혀가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
†마 5:21-22
………
3) 누구든지 언제나 자기 육체를 미워하지 않고 오직 양육하여 보호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에게 함과 같이 하나니 우리는 그 몸의 지체임이라
†엡 5:29-30
“여보세요.”
전화기 너머에서 어린 소녀가 말했다.
“여보세요. 얘야, 아빠다!”
박태준이 말했다.
“엄마 지금 옆에 없고, 셋째 삼촌하고 위층 방에 있어요.”
짧은 침묵이 흐른 뒤.
“셋째 삼촌이라고? 너한테 셋째 삼촌이 어디 있다고?”
“셋째 삼촌 말야! 지금 위에 엄마랑 같이 있다니까요.”
“거 참 이상하구나. 여하튼 알았다. 그럼 지금부터 아빠가 하는 말 잘 들어라. 우선 수화기를 잠깐 내려놓는 거야. 그리고 층계를 달려 올라가 방문을 두드리고, 아빠가 방금 집 앞에 차를 댔다고 외치는 거다. 알았지?”
“알았어요!”
몇 분 후, 소녀가 전화기로 돌아왔다.
“아빠가 하라는 대로 했어요.”
“그랬더니?”
“엄마는 옷도 안 입고 침대에서 뛰쳐나와 2층을 마구 헤집고 다니더니, 계단 앞에서 넘어져 굴러 떨어졌어요. 엄만 지금 게단 밑에 누워 있는데, 목이 비뚤어져 있어. 죽었나봐요...”
“이걸 어쩌지? 그럼 그 삼촌이란 사람은?”
“삼촌도 옷을 하나도 안 입고 침대에서 벌떡 일어나더니 막 흥분해서 뒤쪽 창문으로 뛰쳐나가 수영장으로 뛰어들었어요. 그런데 삼촌은 아빠가 지난주에 수영장 물을 빼버린 걸 몰랐나 봐요? 지금 수영장 바닥에 누워 있는데 꼼짝도 안 해요. 삼촌도 아마 죽었나 봐요.”
한참 있다가 박태준이 말했다.
“수영장이라고? 우리 집엔 그런 게 없는데. 얘야, 너희 집 전화번호가 혹시 444-4989 아니니?”
가인이 자신의 동생 아벨을 죽인 이후 인간은 살인을 끊임없이 저지르고 있다. 또 위의 웃기는 경우의 이야기에서 보듯이 우리는 뜻하지 않은 살인을 저지를 수도 있다. 성경의 관점에서 볼 때 살인은 매우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살인이라는 말 자체가 누구나 죄의식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산상수훈에서의 예수님의 가르침은 아주 의미심장하다. 예수님 당시의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살인이란 단지 외적인 행동일 뿐이고, 십계명도 그런 행동만을 지적한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예수님의 가르침은 그런 것만이 살인의 전부냐고 물으신다. 즉 예수님은 마음과 태도도 문제를 삼고 계시다.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옛 사람에게 말한바 살인치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혀가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 마 5:21-22
예수님의 말씀에 따르면 성내는 것뿐만 아니라 모욕하는 말조차 살인에 버금가는 죄가 된다. 라가라 하는 말의 원래 뜻은 ‘비었다’를 의미한다. 비었다고 하는 라가(raca)를 사용해 욕을 하게 되면 상대방을 속이 ‘빈 놈’이나 ‘정신 나간 놈’이라는 뜻으로 모욕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말의 원어 모로스(moros)는 바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이 말들은 도덕적으로 바보이거나 정신 나간 사람을 의미한다. 즉 바보짓을 하거나 정신 나간 짓을 하는 사람을 빗대는 말인 것이다. 그래서 이런 말들을 듣는 사람은 마음과 명예에 심한 상처를 받게 된다.
예수님은 누구를 비방하거나 모욕하는 것조차도 하나님의 관점에서 볼 때 제육 계명을 어기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우쳐주신다. 주님의 이 가르침은 우리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밝혀주신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화를 내고, 투덜대고, 비방하고, 무시하는 말을 함부로 한다. 예수님은 우리의 그러한 행위가 살인을 저지르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주님께서 말씀해주신다.
네 이웃을 사랑하고 네 원수를 미워하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핍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 이같이 한즉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아들이 되리니 이는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심이라 마 5:43-45
우리가 이웃을 사랑하고 기도하면 세상을 섭리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자식이 되어 우리의 감정을 다스리게 될 것이다. 그래서 살인하지 말라는 제육 계명을 지키게 될 것이다.
【핵심개념정리】
1) 살인에 대한 이스라엘 지도자와 예수님의 관점은 어떻게 다른가?
예수님 당시의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살인이란 단지 외적인 행동일 뿐이고, 십계명도 그런 행동만을 지적한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예수님의 가르침은 그런 것만이 살인의 전부가 아니라 마음과 태도도 문제를 삼으신다.
2) 하나님의 관점에서 비방이나 모욕은 어떤 죄에 해당하는가?
예수님은 누구를 비방하거나 모욕하는 것조차도 하나님의 관점에서 볼 때 살인하지 말라는 제육 계명을 어기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우쳐주신다.
3) 우리는 자신을 어떻게 다스릴 수 있는가?
우리가 이웃을 사랑하고 기도하면 세상을 섭리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자식이 되어 우리의 감정을 다스리게 될 것이다.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