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5(화)
 

인상주의 작가들은 우리의 눈을 ‘빛을 받아들이는 기관’으로 보고 빛의 변화에 따라 바뀌는 시각적 색채와 이미지를 그대로 표현하고자 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프랑스의 대표적 화가로서 현대 미술의 아버지 세잔(Paul Cezanne, 1839년 1월 19일 ~ 1906년 10월 22일)은  우리의 눈을 ‘마음의 창’이라고 보았다. 빛이 역광으로 비치더라도 내 마음속 사과는 오른쪽 위가 반짝이는 예쁜 사과일 수 있다는 것, 유리잔을 테이블 위에 놓고 보면 동그란 윗부분만 보일지라도, 내 마음속에서는 옆선이 선명하게 보이는 납작한 도형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세잔의 과감하게 내디딘 걸음을 고갱은 마음으로 느끼고 있었기에 작품을 진심으로 즐기고 또 더 나아가 단조롭게 되풀이되는 일상을 뒤로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젖힐 수 있었다. 믿음의 일이 사소하고 이상해 보여도 마음의 문을 열고 오직 은혜로 보면 그곳에서 무한한 감동과 기쁨이 쏟아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1695391233661-web.jpg

 

1695391233715.jpg

 

제108회 총회가 ‘교회의 회복’을 선언하며 첫걸음을 내디뎠다. 2023년 9월 18일 오후 3시 30분 대전광역시 새로남교회(오정호 목사)에서 제108회 총회의 막이 올랐다.


이번 총회는 목사 총대 746명, 장로 총대 686명 등 총회 총대 1432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회했다. 


1695391224922.jpg

 

1695391233850.jpg

 

단단한 총회 서기 고광석 목사의 인도로 시작한 개회 예배는 총회 불꽃 제107회 총회장 권순웅 목사의 ‘샬롬 부흥총회, 일어나라’는 제목의 말씀으로 샬롬 부흥의 불꽃이 타오르게 했다.


“샬롬 부흥 운동으로 우리 교단 교인 수가 약 6만 명 증가했습니다. 이제 샬롬 부흥 운동의 거룩한 바통을 108회기에 넘깁니다. 108회기 총회장 오정호 목사님과 임원들, 모든 구성원들에게 기대가 큽니다. 하나님께서 더 큰 부흥으로 교회가 일어나게 해주실 것입니다.”


1695391215207.jpg

 

총회선관위원회 주관으로 제108회 총회 임원 선거가 진행됐다. 108회기 총회장은 오정호 목사가 총대들의 기립박수를 받으며 만장일치로 추대됐다. 서기 김한욱 목사(소래노회·새안양교회), 회록서기 전승덕 목사(서대구노회·설화교회), 회계 김화중 장로(이리노회·북일교회) 등이 자동 취임했다. 


제108회 총회 임원 경선에 나선 목사부총회장은 오직 은혜를 앞세운 김종혁 목사(울산노회·명성교회)가 경륜을 앞세웠지만 427표에 그친 남태섭 목사(대구노회·대구서부교회)를 1042표의 압도적인 차로 이겼다. 


1695391225323.jpg

 

목사부총회장 선거만큼 관심을 모았던 총회총무 선거는 787표를 득표한 성경적 원칙주의자 박용규 목사(대구중노회·가창교회)가 672표에 그친 고영기를 세간의 정치적 예상과 달리 하나님의 순리대로 당선됐다. 교계 연합에 홀린 소강석 아바타로 교단 총무 본연의 자세를 잃고 처신한 결과였다고 할 수 있겠다. 


부서기 선거에서는 믿음과 겸손의 원칙주의자 임병재 목사(경청노회·영광교회)가 822표를 얻어 641표에 그친 최인수 목사(경상노회·수산중앙교회)를 여유 있게 눌렀다. 부회록서기 선거는 두 번째 총회임원 선거에 도전해 예년과 달리 선거 운동보다 목회와 기도에 더 힘쓴 김종철 목사(용천노회·큰빛교회)가 예상외로 804표를 얻어 653표의 육수복 목사가 안타깝게 분패했다. 부회계 선거에서는 이민호 장로(경북노회·왜관교회)가 756표를 얻어 임성원 장로(704표)를 아슬아슬하게 제쳤다. 


문재인이든 조국 일가든 잘못을 인정하는 일이 없다. 어떤 경우든 자기 자랑과 변명만을 한다. 총신 사유화 9부 능선을 넘은 김영우를 잡은 건 이영수 목사처럼 총회 한 세대를 풍미한 허활민 목사였다. 그러나 그는 그런 자랑을 한 적이 없다.


무릇 세상이든 총회든 지도자의 정치에는 주어진 원칙이 있어야 한다. 현실을 정확히 인식해 진실을 밝히고, 그 진실에 입각해서 미래를 위한 가치판단을 내려야 한다. 기독교 정신이 무엇인가. 진실과 자유, 인간애의 정신이다. 그 정신을 거부하거나 모멸하는 정치는 세계 어디에서도 수용되어서는 안 된다.


정의는 법치국가의 기본 가치다. 법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사회악을 배제하고 선한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질서 파괴의 큰 사회악을 저지르면서도 정치인들의 특권으로 자부하는 범악은 책임지지 않는다. 총회 앞에서 제107회 선관위원들이 이이복 장로 건 당사자들처럼 세상 정치인들은 국민 앞에서 말한다.


“나는 1원 한 푼도 받은 바 없습니다.”


그러면서 그들은 법 담당자들인 정부와 검찰의 정치 탄압에 항거하자는 요설을 늘어놓는 무리가 대부분이다. 그들의 질서 파괴가 국민을 얼마나 큰 도탄과 불행으로 이끌고 있는지는 관심조차 없다. 그 법을 갖고 정권 유지와 패거리 대표의 명예와 업적으로 둔갑시키는 것이 이중적 범죄임을 생각지 못한다. 


1695391215258.jpg

 

따라서 총회장은 총대 목사와 장로들에게 그들을 움직이는 원동력이 다른 사람의 평가가 아니라 하고 있는 일의 성경적 의미와 믿음으로 통제 가능한 것을 성취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오정호 총회장은 총회와 총신을 위해서도 자신을 위해서도 남의 말과 시선에서 좀 더 자유로워져도 될 것 같다.


역사철학의 창시자로 알려진 헤겔이 “세계사는 세계 심판”이라는 말을 남겼다. 역사는 스스로를 심판한다는 뜻이다. 동양에서는 ‘사필귀정’이라는 정신을 믿고 있다. 역사의 구체적인 사건들은 반드시 선악의 심판을 받는다는 교훈이다. 정치 담당자들은 역사의 심판은 엄격하다는 사실을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더더욱 하나님의 심판은 더 확실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 총회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역사적 과제는 교단의 칼빈주의 개혁신학의 회복이다. 그 목표는 재정난과 정제성 상실에 허덕이는 총신대의 교단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대 본연의 모습과 구조의 회복을 위한 과감한 구조조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이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또 그 퇴락한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 이는 그 남은 사람들과 내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모든 이방인들로 주를 찾게 하려 함이라 하셨으니 즉 예로부터 이것을 알게 하시는 주의 말씀이라 함과 같으니라 행 15:16-18


2023-09-22

태그

전체댓글 0

  • 1003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총회 선거와 총회 정치 정상 회복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