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20190811_111746-web.jpg
 
서양음악에서 새로움을 추구한 역사는 오래지 않은 18세기 후반부터의 일이다. 바흐만 해도 그의 작품이 새로워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좋은 음악 기술을 습득해서 필요한 음악을 잘 쓰는 것이 중요했다. 마침 그의 시대에는 유럽 전반에 걸쳐 통용되는 보편적인 음악 언어가 있었고 그는 그 언어들을 모두 마스터한 마이스터였다. 바흐는 봉직했던 궁정과 교회에 필요한 음악을 성실히 작곡해 많은 음악을 남기면서도 스스로를 음악의 봉행자라고 여겼지 창조자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19세기 초에 활동한 베토벤은 궁정이나 교회를 위하여 일하지 않았다. 누구의 요청을 받지 않고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새로운 착상이 생기기 전에는 교향곡을 착수하지 않았던 그는 창조자로서의 자신을 의식하고 있었다. 그의 음악은 의식이나 행사를 위해서 쓰인 후 남은 것이 아니었다. 오로지 감상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미적 대상’이었다. 그 안에는 시간이 있었고 새로운 것과 낡은 것의 교차했고 정신과 역사가 공존했고 오히려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무엇이 꿈틀댔다. 그는 그러한 대상물의 창조자였고 음악은 그 손에 빚어진 작은 우주였다.
 
베토벤 이후의 작곡가들에게 새로움이란 그 자체로 하나의 가치였다. 그들이 만든 작은 우주들은 제각기 새로운 질서로 움직이는 소우주였다. 그렇지 못한 작품은 중심 없이 우주공간을 떠다니는 의미 없는 물질처럼 취급되었다. 새로움의 추구는 작곡가마다 개성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보편적인 음악 언어는 차츰 개인적인 언어로 대체되었다. 19세기말 20세기 초에 이르면서 보편적인 언어 자체를 거부하고 완전히 혁신적인 새로운 언어로 자신의 음악을 만드는 작곡가들이 나타났다. 새로움을 위한 새로움을 추구하는 작업도 있었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된 20세기 후반에는 급기야 새로움의 추구 자체가 진부한 패션이라는 반성까지 나오게 된다. 성경으로 먹고 사는 우리 목회자들도 그와 마찬가지 아닐까.
 
한 곡 안에는 수백만 수천만 개의 음들이 들어있다. 베토벤의 음악 뿐 아니라 바흐의 음악, 또 그 이전의 음악에도 들어있는 그 음들은 작곡된 이래 변함없이 있다. 그러나 그 소리 하나를 내는 방법 또한 무한히 있다. 사실 음악이 기록된 악보는 음악이 아니라 음악의 설계도면이다. 이 설계도에 의거하여 소리의 집을 지어 들리는 음악으로 만드는 것이 연주가이다. 그들은 자신의 음악적 경험과 맥락 속에서 그 설계도를 이해한다. 지휘자마다 곡의 빠르기와 강약이 달라지고 섬세한 표현법이 달라지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이러한 새로운 해석에 의하여 음악은 새로운 생기를 얻는다. 지금까지 보이지 않던 곳을 보고 들리지 않던 곳을 들리게 한다. 마치 18~19세기의 청중들이 대체로 당대에 만들어진 새로운 음악을 들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 시대의 청중은 과거의 음악을 듣는다. 바흐나 베르디나 말러를 들으러 연주회장이나 극장을 찾는다. 지치지도 않고 반복해서 듣는다.
 
20190811_110353-web.jpg
 
20190811_111512-web.jpg
 
20190811_110809-web.jpg
 
20190811_110715-web.jpg
 
20190811_111606-web.jpg
 
천광교회는 1986년 6월 15일 30여명의 교인들이 이리시 신흥동 483번지에 외딴집 옆 마당을 빌려 천막을 설치하고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다. 개척 설립 첫 설교에 23명이 모인 자리에서 안홍대 목사는 이렇게 선포했다.
 
"천광교회는 앞으로 1천 성도가 모일 것입니다."
 
천광교회가 개척 5년 만에 1991년 예배당을 완공했다. 그리고 목회가 안정기에 접어든 1994년 미국을 방문한 안홍대 목사는 찬양으로 크게 부흥하는 교회들을 목격했다. 그때 그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고 한다. 주일 예배에 경배와 찬양을 도입해 지금의 안정에 만족하지 말고 하나님을 더 찬양하고 교회가 더 성장하기 위해 예배를 변화시키라는 성령의 감동으로 그는 받아들였다고 한다. 겉보기와 다른 외유내강의 그는 귀국하자 바로 실천에 옮겼다. 그는 찬양대의 찬양 외에 예배의 경배와 찬양을 지휘자에 맡기지 않고 자신이 강단에 서서 음악적인 재능이 아니라 기도와 연습을 통한 말씀과 믿음의 능력으로 스스로 인도했다. 
 
현대적 예배음악의 목적은 사람들과 온 교회가 개인의 경배 경험과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더욱 깊게 느끼는 데에 있다. 그렇듯 하나님과의 관계를 굳게 세우고 창조주 하나님에게 올리는 찬양과 경배를 돕고 하나님께서 그에게 무엇을 행하셨는지 감사하도록 돕는 것이 안홍대 목사가 주도하는 경배찬양 예배의 초점이다.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는 강단도 현대적 무대 기법을 적용해 강대상이 자동으로 위치를 바꾸게 하고 찬양대석도 찬양할 때와 예배드릴 때도 자동으로 방향이 바뀌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천광교회는 교회 성장과 함께 예배당이 좁고, 주차장 시설이 없어서 기도하던 중 2003년 6월 15일 현재 2,600평 대지와 400평의 예배당 건물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천광교회는 2009년에 6층으로 교육문화센터를 건축(800평)하여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인구가 줄고 있는 익산시에서 천광교회는 안홍대 목사의 경배찬양 예배를 통해 성장을 멈추지 않고 있다.
 
모든 영화에 공통으로 있는 위대한 주제를 하나만 꼽아보라면 정답은 '변화'이다. 아인슈타인이 그에 어울리는 말을 했다.
 
“무엇을 하든 똑같이 되풀이하면서 결과가 달라지길 바라는 건 미친 짓이다”(Insanity is do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again and expecting different results).
 
인생에서 중대한 변화의 물꼬를 터야 하는 건 퍽 겁나는 일이다. 그런데 그보다 훨씬 더 무서운 건 변화하지 않은 걸 뒤늦게 후회하는 삶이다.
 
20190811_120452-web.jpg
 
20190811_120615-web.jpg
 
20190811_122719-web.jpg
 
시편 50편에서 하나님께서는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라고 선포하셨다. 안홍대 목사는 이 말씀의 실천을 통한 축복과 성장의 변화를 체험하기 위해 기도하고 또 기도하는 한편 전공도 아닌 찬양을 연습하고 또 연습했다. 그리고 천광교회는 성장했다. 안홍대 목사는 말한다.
 
“1986년 6월 15일 이리시 신흥동 483번지에 외딴집 옆 마당을 빌려 세운 천막에서 예배를 드린 개척 첫 예배 때 믿음의 선포에 30여명의 교인들이 믿음으로 아멘을 크게 외쳤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개척 설립 비전을 그 아멘에 응답하시는 중에 천막교회 생활 1년 6개월만에 2층 건물을 임대하여 예배실로 1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어양동 주택 개발 지역에 340평 대지를 구입 하여 1층 건물을 건축하여 유치원을 설립하고 또 교회 예배당을 마련하여 입당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1991년 9월에 2층 교회 건축을 완성하여 입당하였습니다.
 
그 후 교회 발전과 함께 예배당이 좁고, 주차장 시설이 없어서 기도하던 중 2003년 6월 15일 현재 2,600평 대지와 400평의 예배당 건물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천광교회는 2009년에 6층으로 교육문화센터를 건축(800평)하여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특별히 첫 예배 때 선포한 비젼을 이루게 하시는 중에 필리핀에 1개 교회를 건축하였고 중국에 2개, 아프리카에 100여개 교회를 건축하였습니다. 건축 상황이 국민일보에 세 차례 보도됨에 따라 전국 교회와 성도들이 참여하여 아프리카 브르기나파소에는 수백 개 교회가 세워졌습니다. 계속해서 천광교회는 21세기 비전을 세우고 기도하는 가운데 있습니다. 지금까지 은혜 중에 기도 응답 속에 놀라운 축복을 주신 하나님께서 앞으로도 더 큰 은혜를 주실 것입니다.”
 
20190319_110940-web.jpg
 
 
2019-08-17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경배찬양 설교자 안홍대 목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